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부터 해제까지 예의 주시…
비슷한 듯 다른 반응, "방한 취소" 외교 차질 불가피
[서울=뉴시스]윤석열 대통령이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령을 발표한 가운데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군인들이 국회 안으로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2024.12.04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주요국들은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를 엄중하게 받아들이며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군사·안보·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미국과 일본, 중국 등은 자국에 미칠 영향을 따지며 긴박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각국 정상들이 이번 계엄 사태와 관련해 공식 성명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당분간 윤석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등 개별 접촉을 피하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3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을 종합하면 미국 백악관은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를 국회가 일단락 시킨 것에 대해 안도를 표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 사전 통지나 조율이 없었다는 점도 명확히 했다.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가 국회의 표결을 받아들여 이를 해제한 것에 대해 안도한다"며 "민주주의는 한미동맹의 근간이며 우리는 계속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미국은 지난 24시간 동안 한국 상황을 면밀히 지켜봤다"며 "정치적 이견이 법치에 따라 평화롭게 해결되기를 기대할 것"이라는 성명을 냈다. 그는 이어 "민주주의와 법치라는 공동의 원칙에 근거해 한국 국민과 한미 동맹에 대한 철통 같은 지지를 재확인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상으론 9년 만에 아프리카를 찾아 앙골라를 순방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차량 안에서 한국 상황에 대한 브리핑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특별한 언급은 없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별도의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서울=뉴스1)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페루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리마 컨벤션센터에서 한미일 정상회의 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11.16/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 정부는 한국의 계엄 사태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총리 관저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타국 내정에 대해 말씀드릴 입장은 아니지만 특별하고 중대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지 주요 언론들은 윤 대통령 취임 이후 해빙 무드로 전환된 한·일 관계에 미칠 영향 등을 짚었다. 내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관련 행사들을 진행할 예정이었는데 이번 계엄 사태가 찬물을 끼얹게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정치적으로 불안한 한국 때문에 한·미·일 공조가 흐트러질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중국 정부도 이번 비상계엄 사태를 한국 내부의 문제로 판단, 공식 입장은 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주요 언론들이 한국 계엄 진행 상황을 비중 있게 전달하면서 대중들의 관심이 최고조에 달해 있다. 대통령의 계엄을 국회가 막았고 이를 수용한 점, 심각한 폭력사태로 번지지 않은 점, 국민들의 뜻에 따라 지도자가 뽑히고 탄핵이 가능하다는 점 등 한국을 부러워하는 여론이 확산할 지 여부에 중국 정부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서울=뉴스1)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11.16/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국·독일 등 유럽 주요국도 한국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영국 정부 대변인은 "한국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독일 외무부도 "한국의 상황을 우려하며 지켜보고 있다"며 "민주주의는 승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냈다.
계엄령이 해제됐지만 외교 차질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장 이달 5~7일 방한 예정이었던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와 부처 장관들이 계획을 연기했다. 이달 15~16일 한국을 방문하려던 스가 요시히데 전 일본 총리도 일정을 급거 취소했다. 이달 중 한국을 방문하려던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 일정도 불투명해졌다. 내년 1월초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추진했던 이시바 일본 총리의 일정까지 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송지유 기자 cli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