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선박자율운항 솔루션 기업 씨드로닉스가 극지에서 운항하는 쇄빙선에 AI 운항 지원 모니터링 시스템(NAVISS)의 설치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운영을 개시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씨드로닉스의 AI 운항 지원 모니터링 시스템은 정밀한 객체 인식 기능, 쇄빙선에 최적화된 설치 환경 등 쇄빙선 탑재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솔루션으로 해양 업계에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상황 인식 AI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세계 최초로 쇄빙선에 설치됐다.
이 AI 시스템은 선박 주변 영상을 어라운드뷰(Around-view)로 구성하여 음영지역 없이 선박 주변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조타실의 선장 및 선원에게 실시간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쇄빙선은 씨드로닉스만의 AI 인식 기술을 통해 육안으로 식별하기 힘든 선박의 360도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충돌위험이 있는 선박 및 장애물을 능동적으로 감지하여 즉각적인 알람을 받아 혼잡한 연안이나 극지 항해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안전한 운항을 보장받게 된다.
특히,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비활성화된 선박, 레이더에 미 포착된 선박까지 선박 주변의 모든 선박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어 현재 사용 중인 항통장비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선박 스마트 운항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씨드로닉스의 AI 운항 지원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재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를 위한 특수선(WTIV) 뿐만 아니라 일반 상선, 연안의 안전을 위한 국가 어업지도선, 예인선, 자율운항 연구선 등 다양한 선박에 세계 최초로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씨드로닉스의 노경수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쇄빙선은 극지의 혹한이라는 환경에서도 항해하기 위해 안전과 운항 효율이 더욱 중요한데 꼭 필요한 선박에 우리 AI 운항 솔루션이 설치된 것 같아 뿌듯하다”며, “최근 수에즈 운하의 통행 차질로 인해 북극항로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쇄빙선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번 설치를 발판 삼아 전세계 쇄빙선에 AI 운항 솔루션이 보급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비마이프렌즈, ‘2025크리에이터 이코노미’유망 기업 선정
글로벌 팬덤 비즈니스 전문 기업 ‘비마이프렌즈(bemyfriends)’가 글로벌 테크·스타트업 전문 뉴미디어 ‘뉴 이코노미즈(NEW ECONOMIES)’가 발표한 ‘2025년 주목할 만한 기업’에 선정됐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뉴 이코노미즈(NEW ECONOMIES)는 세계 최대 극초기 벤처캐피탈(VC) ‘앤틀러(Antler)’ 출신 ‘올리 포시스(Ollie Forsyth)’가 설립한 뉴미디어로, 최신 경제 동향부터 테크, 스타트업 이슈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 지난 22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지원하는 전세계 5,0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투자자 인터뷰, 시장 조사 등을 진행해 ‘2025년도에 주목할 만한 기업’ 180곳을 선정·발표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비마이프렌즈가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2025년도에 주목할 만한 기업’은 생성형 AI(Gen AI), 커뮤니티(Community), 수직 플랫폼(Vertical platforms) 3개 부문에 걸쳐 공개됐다. 비마이프렌즈는 커뮤니티 부문 중 ‘수익화 커뮤니티(Monetize community)’ 카테고리 유망 기업에 선정됐다.
비마이프렌즈는 2021년 설립된 글로벌 팬덤 비즈니스 전문 기업으로, 팬덤 비즈니스 토탈 솔루션 ‘비스테이지(b.stage)’를 통해 고객사가 글로벌 팬덤 비즈니스를 전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e스포츠 구단 ‘T1’과 K-POP 아티스트 ‘강다니엘’, 몬스타엑스 ‘아이엠’, ‘키스오브라이프’, 배우 ‘나인우’, ‘배인혁’, 뮤지컬 IP ‘킹키부츠’, ‘어쩌면 해피엔딩’ 등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서 190개가 넘는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일본, 베트남, 독일, 프랑스 등 전 세계 230개국에서 비스테이지에 방문하고 있으며, 최근 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MAU) 300만 명을 돌파했다.
서우석 비마이프렌즈 공동대표는 “팬덤은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팬덤을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는 매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비마이프렌즈는 크리에이터를 비롯해 e스포츠, 문화예술, 배우 등 IP를 가지고 있거나 IP가 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로 팬덤 비즈니스를 전개하도록 지원한다. 팬덤 비즈니스에 필요한 모든 노하우와 솔루션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어서다”며 “비마이프렌즈는 ‘팬덤 테크(Fandom-Tech)’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IP 홀더들이 더욱 전략적으로 팬덤 비즈니스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비마이프렌즈는 국내를 넘어 글로벌로 팬덤 비즈니스를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진출에 이어 올해 초 일본 법인을 설립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심부름앱 ‘해주세요’, 서울 지역 배달 가맹점 1000곳 돌파
해주세요컴퍼니가 운영 중인 심부름앱 ‘해주세요’의 서울 지역 가맹점이 1000곳을 넘어섰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심부름앱 ‘해주세요’는 실시간 GPS를 활용한 근거리 매칭 서비스로 2024년 9월 기준 누적 가입자 수는 180만 명을 확보하고 있다.
가맹점 가입 증가에 대해 회사측은 기존 배달앱들의 높은 수수료에 부담을 가져왔던 서울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 사이에 높은 중개수수료와 포장수수료 부담을 벗어 날 수 있는 대안으로 인식되 입소문을 타고 있는 점과 ‘소비자에게 국내 최저가 음식 배달을 제공한다’는 슬로건에 맞는 다양한 배달 서비스 방침에 공감했기 때문이라 설명했다.
실제로 ‘해주세요’는 멤버십 결제도 없고, 한 집도 배달 요청에도 추가 과금 없이 배달을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1인 가구의 배달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모든 배달의 최소 주문 금액을 9900원 이하로 책정하기도 했으며, 실시간 GPS를 활용해 소비자의 위치 기준 4km 미만 가게들만 노출해 음식이 최대한 뜨거울 때 배달해 주는 것을 목표로 차별화된 배달 서비스 제공을 계획하고 있다.
조현영 해주세요컴퍼니 대표는 “0% 수수료 정책으로 자영업자 폐업 100만 시대에 보탬이 되는 동시에 외식 물가 상승으로 피해를 보는 소비자에게는 최저가 음식 배달을 제공하는 상생 배달앱을 구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주세요는 심부름과 음식 배달을 통합한 온디맨드 플랫폼을 목표로 고객의 일상 속 다양한 필요를 즉시 해결하는 ‘라이프 딜리버리(Life Delivery)’로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허드슨에이아이, 크리에이터향 AI 더빙 ‘팀버’ 베타 출시
AI 기반 미디어 더빙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허드슨에이아이(Hudson AI)가 크리에이터를 위한 AI 더빙 서비스인 ‘팀버(timbr)’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팀버’는 음성, 영상 생성 AI 기술을 기반으로 크리에이터의 목소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언어로 더빙 음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마치 크리에이터가 외국어로 말하는 것처럼 영상 속 입모양 까지 맞추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세계 크리에이터들이 언어의 장벽 없이 해외 시장에 빠르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팀버’의 AI 더빙 기술은 허드슨에이아이의 자체 음성 합성 모델인 액팅(Acting) TTS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액팅 TTS는 AI기술을 활용해 크리에이터의 목소리 뿐만 아니라 말투, 비언어적인 표현까지 모사해낸다. 한번의 클릭으로 원하는 언어로 자동 번역, 더빙해주는 기능은 물론, 크리에이터가 원하는 방향으로 음성을 수정하고 편집할 수 있는 기능까지 지원한다. 여기에 허드슨에이아이의 독자적인 AI 립싱크 기술을 통해 자연스럽게 입모양까지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현지화 서비스를 통해 진출하는 국가의 문화적 특징, 유행을 반영하여 영상 제목, 설명, 태그 등을 현지화함으로써 해외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연내에는 유튜브 채널의 해외 성장 및 수익화에 도움을 주는 커머스, 데이터 분석 기능까지 확대함으로써 단순 영상의 언어를 바꾸는 것을 넘어, 크리에이터의 해외 시장 확장을 위한 성장파트너로서의 기능을 확대할 방침이다. 베타 서비스 기간에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지원하며 정식 출시시에는 약 20개 언어를 지원할 예정이다.
허드슨에이아이는 현재 국내 유튜브 크리에이터 채널 60개 이상과 협업을 진행해왔다. 260만 크리에이터 ‘침착맨’ 또한 허드슨에이아이와 협업 중인 AI 더빙 샘플을 공개한 바 있다. 이에 구독자들은 ‘침착맨 일본어 잘한다’, ‘목소리가 정말 똑같다’, ‘글로벌 침착맨’과 같은 반응을 보였다. 또한 2,300만 이상의 글로벌 구독자를 가진 애니메이션 유튜브 채널인 계향쓰(GH’S) 역시 허드슨에이아이의 AI 더빙 기술을 통해 영어, 스페인어, 일본어 더빙을 진행하며 구독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국내 최대 양봉 유튜버인 ‘프응’은 허드슨에이아이와 협업한 영어 더빙 영상으로 북미에서 약 100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허드슨에이아이 신현진 대표는 “팀버를 통해 더욱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전세계 시청자들과 소통할 수 있기를 바란다. 특히,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지금, 팀버는 AI 현지화 기능을 통해 크리에이터들에게 신규 시장 확장 및 팬 커뮤니티 확대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며, “미디어 기업들의 방송, 영화 콘텐츠의 AI 더빙을 지원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크리에이터 콘텐츠 또한 높은 퀄리티로 현지화 될 수 있도록 팀버를 고도화하고 있다. 앞으로도 팀버가 크리에이터들의 글로벌 진출과 성장을 위한 가장 효율적이고 강력한 도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4 혁신의숲 어워즈, 3차 후보 기업 공개
혁신의숲 운영사 마크앤컴퍼니가 오는 12월 개최되는 혁신의숲 어워즈의 3차 후보를 공개했다. |
올해로 3주년을 맞이하는 혁신의숲 어워즈는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을 도모하고 스타트업 창업가들을 응원하는 자리로, 앞서 1차와 2차 후보를 공개한 바 있다.
이번에 공개된 3차 후보에는 뉴닉, 리클, 온잇코리아 등 총 29개사가 이름을 올렸으며 그 중 통합부문은 17개사, 기술부문은 12개사가 선정되었다. 통합부문 후보 기업들은 서비스 방문자 수, 소비자 거래액, 고용 인원 추이, 투자 이력 등의 스타트업 성장 지표와 기업 평판, 시장 트렌드를 기준으로 선발되었다.
특히, 금번부터 신설된 기술부문은 ‘혁신의숲 어워즈 기술위원회’의 별도 심사를 거쳤다. 마크앤컴퍼니 김영덕 벤처파트너(전 디캠프 대표)가 위원장을 맡았으며, 네이버 D2SF 양상환 센터장, 특허법인 MAPS 조욱제 대표 변리사, 퓨처플레이 최재웅 전무, 마크앤컴퍼니 황희철 기술 담당 벤처파트너가 위원으로 참여했다. 기술부문 후보 기업들 중 기술혁신상이 결정되며, 기술혁신상 수상 기업에는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부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그동안 혁신의숲 어워즈는 네이버클라우드, 포커스미디어 등 10여 개의 파트너사들이 참여하였으며 수상 기업에게는 실제 사업 운영에 도움이 되는 리워드 보상과 장기적인 후원을 제공했다. 마크앤컴퍼니 홍경표 대표는 “혁신의숲어워즈가 올해로 3주년을 맞은 만큼 단순한 시상식으로 그치지않고, 스타트업과 투자자, 파트너 간의 네트워킹을 통해 창업 생태계 전반의 성장을 촉진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최종 시상은 12월 12일,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컴업 2024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2024 혁신의숲 어워즈 3차 후보 기업 – 통합부문 (가나다 순, 총 17개사)
그린벳 / 나인에이엠 / 넥스트그라운드 / 뉴닉 / 리클 / 마들렌메모리 / 미션드리븐 / 바이브온코퍼레이션 / 바크 / 볼라 / 온잇코리아 / 워커스하이 / 창업인 / 코드블라썸 / 쿠키플레이스 / 트립소다 / 피클플러스
-2024 혁신의숲 어워즈 3차 후보 기업 – 기술부문 (가나다 순, 총 12개사)
데이톤 / 리얼라이저블 / 메이즈 / 미메틱스 / 쓰리아이솔루션 / 알페스 / 에어빌리티 / 오노마에이아이 / 이로운앤컴퍼니 / 임팩티브에이아이 / 카본사우루스 / 타이드풀
글: Platum(editor@platum.kr)
ⓒ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 중화권 전문 네트워크' 플래텀, 조건부 전재 및 재배포 허용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