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HL디앤아이한라, 반도체 도시 '용인 둔전역 에피트’ 분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비즈

용인 둔전역 에피트 투시도. 사진=HL 디앤아이한라㈜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잇따른 개발 호재

실제 용인특례시에는 엄청난 개발 호재가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정부와 용인특례시가 용인을 미국 실리콘밸리를 뛰어넘는 세계적인 ‘반도체 도시’로 조성한다는 전략 아래 추진하고 있는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핵심이다. 용인 반도체 프로젝트는 국내 대표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참여한다.

SK하이닉스는 용인특례시 처인구 원삼면 일대에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에 122조 원을 들여 팹(반도체 생산시설) 4기를 건설할 예정이다. 오는 2025년 3월 첫번째 팹 건설에 착수해 2027년 5월에 준공한 뒤 나머지 생산시설도 순차적으로 지을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이미 부지조성 작업에 착수했다.

삼성전자는 용인특례시 처인구 이동읍과 남사읍 일대에 들어서는 ‘용인 첨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에 팹 6기를 구축한다. 오는 2026년 부지조성 공사 착공이 목표다. 여기에 투입되는 금액만 무려 360조 원에 달한다.

이 같은 반도체 투자로 생산 유발 효과는 480조 원, 직·간접 고용효과는 192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첨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단’에는 150여 개 반도체 소·부·장과 설계기업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엔 50여 개 소·부·장 기업이 각각 입주할 예정이다. 용인이 세계적인 ‘반도체 도시’로 탈바꿈하는 셈이다.

◆ 반도체 철도·고속도로, 플랫폼시티 개발도

사통팔달 광역교통망 구축 사업도 초대형 호재다. 정부와 용인특례시가 ‘반도체 도시’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철도·고속도로 확충에 팔을 걷어붙이면서 교통망 건설도 본궤도에 올랐다.

먼저, 정부와 용인특례시는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화성~용인~안성(45㎞)을 연결하는 ‘반도체 고속도로’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민자 적격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경강선의 경기 광주~에버랜드~이동~남사(37.97㎞) 구간을 잇는 ‘경강선 연장’도 구체화하고 있다. ‘용인 이동·남사 첨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이동읍 반도체 특화신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반도체산업의 핵심 철도라는 점에서 ‘반도체 철도’ 성격을 띠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한 상태다. 내년 상반기에 최종 계획을 수립하고 빠르면 7월 중에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여기에 용인특례시 남북을 관통하는 ‘세종~포천 고속도로’의 올 연말 개통도 대형 호재다. 구리~하남~성남~용인~안성(72.2㎞)을 잇는 1단계 구간은 오는 12월에 개통하고, 2단계 구간인 안성~천안~세종(56㎞)은 2026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2의 경부고속도로’로 불리는 이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서울 접근성은 한층 좋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노선 용인 구성역이 개통되면서 용인플랫폼시티 조성 사업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용인시는 구성역 일대에 컨벤션센터, EX허브, 대형쇼핑센터, 호텔 등이 들어서는 교통·생활·첨단산업·마이스(MICE)산업의 융복합도시 플랫폼을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플랫폼시티는 고속철도·지하철·고속도로를 연계하는 수도권의 최대 교통 요충지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지원하는 거점 경제·상업 중심지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 개발 호재 이어지면서 청약시장도 후끈

개발 호재가 쏟아지면서 용인 부동산시장도 달아오르고 있다. 초대형 투자가 이뤄질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굵직한 교통 호재 등이 겹치면서 덩달아 부동산 가치도 상승하고 있다.

먼저, 아파트값 상승세다. 한국부동산원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 4월 용인의 아파트값은 전년 4월 대비 1.0% 올랐다. 이는 서울(1.6%)보다는 낮지만 경기(0.8%)에 비해서는 높은 상승률이다. 특히 개발호재가 쏟아지고 있는 용인 처인구는 무려 3.1%가 올랐다.

국토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정부의 첨단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 발표 이후 처인구 역북동에 위치한 ‘용인명지대역동원로얄듀크’ 84㎡(전용면적 기준) 아파트는 1년 만에 6000만원가량 올랐다. 처인구 남사읍 ‘e편한세상 용인한숲시티6단지’ 84㎡ 아파트도 1억 원가량 올랐다.

아파트 거래도 활발하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래 현황’에 따르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용인 처인구는 지난 4월 785건의 아파트 거래가 이뤄졌다. 이는 지난해 4월(348건) 대비 2배가량 늘었고, 전월(309건) 보다도 2배가량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조성단지 배후지로 꼽히는 처인구는 기흥구(596건), 수지구(397건)에 비해 거래가 많았는데, 이는 직장 인근에 주거지를 마련하려는 경향이 짙어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땅값 상승세도 눈에 띈다. 한국부동산원의 ‘전국 지가변동률조사’에 따르면 올 1분기 용인시의 지가는 0.92% 상승했다. 특히 반도체 투자가 이뤄질 용인 처인구는 1.59%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0.43%, 수도권 0.55%, 경기 0.59% 오른 것과 비교하면 큰 폭의 상승세다.

청약시장도 순항중이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두산건설이 지난 3월 경기 용인 처인구 삼가동에서 분양한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용인’은 312세대 모집에 909건의 청약통장이 모이면서 완판에 성공했다. GS건설이 지난 1월 용인 기흥구 서천동에서 분양한 ‘영통역자이 프라시엘’(472세대)도 최근 100% 계약을 끝냈다. 최근 수도권 곳곳에서 미분양이 이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반도체 발 아파트 투자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 HL 디앤아이한라 등 건설업체 신규 아파트 분양 잇따라

용인의 부동산시장이 달아오르면서 하반기 분양을 앞두고 있는 아파트 단지에 실수요자·투자자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장 먼저 주목받고 있는 분양 단지는 HL디앤아이한라가 7월 중에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서 공급하는 ‘용인 둔전역 에피트’다. HL디앤아이한라가 브랜드를 ‘한라비발디’에서‘에피트(EFETE)’로 바꾼 뒤 첫 선을 보이는 아파트다.

‘용인 둔전역 에피트’는 지하 3층, 지상 최고 29층, 13개 동에 1275세대로 조성된다. 규모별 아파트는 ▲68㎡(전용면적 기준) A타입 149세대▲68㎡ B타입 124세대 ▲84㎡ A타입 366세대 ▲84㎡ B타입 471세대 ▲101㎡ 165세대 등이다.

단지 앞을 지나는 중로 1-49호선이 개통되면 용인IC 소요시간이 대폭 단축됨에 따라 영동고속도로와 수도권 제2순환도로 진입도 편리하다. 단지 주변에 세종~포천고속도로,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포곡 IC가 가깝고, 국지도 57호선(용인~포곡) 도로 금어IC 등도 개통될 예정으로 수도권 전역의 이동이 쉽다. 또, 광역버스 정류장이 가까워 대중교통을 이용한 서울 접근성도 좋은 편이다.

세종~포천고속도로 1단계 구간이 올해 안으로 개통 예정이다. 서울을 오가는 교통망이 다양화됨에 따라 서울 접근성이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전철 에버라인 둔전역과 보평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더블 역세권에 있다. 경전선 노선을 이용해 지하철 수인분당선 기흥역(환승)까지 20분대로 이동할 수 있고, 기흥역에선 서울 강남, 경기 분당·판교까지 쉽게 오갈 수 있다.

대우건설은 7월 중에 처인구 남동에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를 공급할 예정이다. 3개 단지 3700여 세대로 구성됐는데, 이번에는 1단지 59∼130㎡(전용면적), 1681세대가 분양된다.

이 아파트는 반도체 클러스터 접근성이 뛰어난 편이다.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단’과 국지도 57호선과 연결되고, 삼성전자의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과는 45번 국도로 이어져 반도체 클러스터와 접근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용인특례시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용인 처인구는 엄청난 규모의 반도체 투자와 함께 교통망 구축, 생활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개발 호재가 겹치면서 이 지역의 부동산 가치는 더욱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영 기자 pparkknd@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