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국방부에 따르면 군사시설보호구역 최소화를 통한 국민권익 증진을 위해 여의도 면적의 117배에 달하는 보호구역 339㎢를 해제한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호재인 건 분명하죠. 지역 개발에 숨통이 트일 겁니다. 나중에 그린벨트까지 해제되면 더 탄력을 받을 수 있어요.”
27일 서울공항 인근 성남 수정구 신촌동에서 만난 지역 부동산 관계자 A씨는 정부의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부는 지난 26일 일부 군사시설보호구역을 해제하기로 했다. 군사시설보호구역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에 따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을 보호하고 군사작전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국방부장관이 지정하는 구역을 말한다. 전체 국토 면적의 8.2%에 해당하는 8240㎢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여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올해 보호구역에서 해제되는 지역은 군 비행장 주변(287㎢), 작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접경지역(38㎢), 민원이 제기된 곳을 포함한 기타 지역(14㎢) 등 총 339㎢ 규모다. 이번에 해제 대상으로 선정된 군 비행장 주변 보호구역은 대통령 전용기가 뜨고 내리는 경기 성남 서울공항과 충남 서산비행장 등 7개 군 비행장 주변 땅이다.
지역 주민들과 부동산 관계자들도 군사보호구역 해제가 서울공항 인근 지역 부동산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 세곡동에 거주하는 B씨는 “주변에 군사보호구역으로 묶여 있었던 곳이 꽤 있는데 규제가 완화돼서 토지나 건물 거래가 활발해질 것 같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각에선 이번 군사보호구역 해제가 총선용 선심성 공약일 수 있다고 우려한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 D씨는 “과거에도 선거철에 서울공항 이전 공약, 서울공항 인근 성남 신촌동, 오야동 그린벨트 전면 해제 공약 등이 나와 지역 주민들의 기대감을 키웠다. 하지만 선거가 끝나니 이야기가 쑥 들어갔다. 이번 군사보호구역 해제도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기도 한다.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성남=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