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최저임금 인상과 갈등

최저임금 부담 못견딘 식당 “주문은 휴대전화 문자로 해주세요”

댓글 10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건비 한푼이라도 줄이기 안간힘

동아일보

테이블에 적힌 전화번호로 문자 주문 14일 서울 중구의 한 빌딩 지하에 있는 A곰탕집 테이블에 손님들에게 문자 주문을 요청하는 글(왼쪽 사진)이 붙어 있다. 문자 주문을 하면 휴대전화로 주문이 접수된다. 식당 주인은 “인건비 부담이 커져 궁여지책으로 만든 방법”이라고 말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4일 점심시간, 서울 중구의 한 빌딩 지하에 있는 A곰탕집. 20대 여성 두 명이 가게로 들어와 스마트폰만 만지작거렸다. 따로 직원을 불러 주문하지 않았는데도 곧이어 곰탕 두 그릇이 나왔다. 290석 규모의 이 식당은 사람이 붐비는 점심시간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주문을 받고 있다. 테이블마다 휴대전화 번호가 주문 방법과 함께 적혀 있었다. 이 식당의 주인 백모 씨(49)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가 치솟아 고민 끝에 생각해낸 방법”이라고 말했다.

최저임금이 두 해 연속 가파르게 상승하자 자영업자들이 인건비를 한 푼이라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자구책을 내놓고 있다. A곰탕집이 이 주문 방법을 도입한 건 지난해 중순이다. 백 씨는 지난해 최저임금이 2017년 대비 16.4% 오르자 인건비를 어떻게 감당해야 할지 고민에 빠졌다. 연 매출 10억 원 정도인 그의 식당엔 직원 12명이 일하고 있다. 최저임금이 두 자릿수로 인상되면서 매달 200만∼300만 원가량의 돈이 추가로 나가게 됐다.

오랫동안 같이 일해 온 직원을 해고하지 않으면서 주 52시간 근무제와 최저임금 인상 여파를 감당하기 위해 도입한 방법이 바로 문자 주문 시스템이었다. 손님 한 팀이 주문하기까지 통상 3∼5분 정도 직원들이 응대하는데, 이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찾은 것이다. 문자 주문 시스템 도입과 함께 직원들의 휴게시간도 도입했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직원들의 근무시간을 줄인 것이다. 백 씨의 가게에서 직원들은 매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휴식시간을 갖고 주말에는 나오지 않는다. 백 씨 부부 둘만 나와 주말 장사를 한다.

문자 주문 시스템 도입 초기엔 당황하는 손님들의 반발도 있었지만 “인건비 부담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설명하면 이해해주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백 씨는 “올해 최저임금 상승분에 주휴수당까지 주면 시간당 1만1000원이 인건비로 나간다. 통상 5분 정도 손님 한 명(팀)이 오면 응대하는데, 계산을 해보니 한 명(팀) 주문받는 데만 약 920원이 드는 셈이더라”고 말했다.

백 씨는 당초 무인계산기 3대를 도입하려고 했지만 서빙을 해야 하는 식당에선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해 취소했다. 업체에 매달 내야 하는 30만 원도 부담이었다. 그는 “음식값을 올리면 손님이 줄어들까 봐 못하고 고민 끝에 문자 주문 방식을 도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식당에서 파는 설렁탕은 7000원 수준이다.

백 씨는 “최저임금 인상을 결정하는 사람들은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부작용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주변 자영업자들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국산보다 저렴한 중국산을 찾는 경향이 많아졌다고 한다. 그나마 조금이라도 이익을 남기기 위해서다. 백 씨는 “중국산 품질도 좋아진 데다 이런 흐름이 계속되면 자영업자들이 국산 농축수산물을 선택할 이유가 없지 않느냐”고 우려했다.

주변에서 최근 자영업을 그만두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도 했다. 직원으로 일해도 매달 버는 돈에 큰 차이가 없고 마음고생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란다. 인터뷰 내내 비교적 덤덤하게 현 상황의 어려움을 이야기한 그는 인터뷰 말미에 한숨을 쉬며 이렇게 말했다.

“솔직히 가게 규모를 줄여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그러면 어쩔 수 없이 사람을 줄여야 하는데…. 정부 당국자들은 김밥 한 줄이 1만 원이 돼야 현 상황의 심각성을 알려나….”

황성호 기자 hsh0330@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