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앞두고 지역 반발 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지막 물량 진수 후 6월 가동 중단… 군산 토지 가격 하락 등 경제 악화

“울산에 편중된 조선물량 분배해야”… 시민단체, 정부에 지원 촉구 나서

6월로 예정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을 앞두고 지역경제에 미칠 악영향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군산조선소는 현재 마지막 주문 물량인 8만4000t급 액화석유가스(LPG) 선박을 건조 중이다. 이 배가 5월 12일 진수되고 6월 중 내부 마무리 공사가 끝나면 조선소는 전면 가동 중단에 들어간다.

군산지역 경제 사정은 심각하다. 지난해 4월 총 86개이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사내 및 1·2차 사외협력업체 가운데 3월 말 현재 47개 업체가 문을 닫아 39개사만 남았다. 5250명이던 근로자도 3206명이 떠나 2044명으로 줄었다. 군산국가산업단지는 공장 매물이 쏟아지고 있고 토지 가격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 5년 전만 해도 3.3m²에 60만 원 선이던 땅값은 현재 47만 원대로 뚝 떨어졌고 공장 매물이 쏟아지지만 이를 사겠다는 사람은 없다.

올 들어 군산의 대외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하고 선박 수출 물량이 바닥을 드러내면서 외항선 입출항도 줄었다. 군산시와 군산세관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군산지역 수출은 6억4600만 달러, 수입은 9억1800만 달러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선박 수출실적이 전혀 없는 탓에 대외무역수지는 2억72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3억2000만 달러 흑자를 보였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대조적이다. 군산항 수출입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88.6%인 343만8000t에 그쳤고 입출항 외항선도 94%인 421척에 불과했다. 3월 말까지 현대자동차, 한국GM, 기아자동차의 군산항을 통한 수출도 지난해 같은 기간의 67%에 불과해 항만 경기 하락을 부채질하고 있다.

군산시 인구도 점차 줄어 27만6000명 선이 위협받고 있다. 20년 전인 1997년 28만1400여 명이던 인구는 지난해 847명이 줄었고 올 들어 3월까지 928명이 추가로 감소했다. 이달 들어서도 22일까지 182명이 줄어드는 등 인구 감소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산업단지와 항만 경기침체에 따른 인구감소로 소비가 둔화되면서 시내 8개 아파트단지의 미분양 물량이 3월 말 현재 1100여 가구에 이르고 도심 상권은 활기를 잃고 있다.

전북도상공회의소협의회는 군산조선소 존치를 위해 정부와 자치단체, 현대중공업의 분발과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북상협은 26일 성명을 통해 “전북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군산조선소 정상화를 위해 범도민 서명운동, 현대중공업 본사 방문, 범도민 결의대회, 1인 시위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전북도민들의 애절함을 깡그리 짓밟아 버린 이번 결과에 대해 크게 분노한다”고 밝혔다.

전북상협은 “최근 정부는 부실경영으로 한국 경제를 흔들리게 한 대우조선해양에 1조 원 규모인 현대상선 선박 건조 물량 10척을 배정하고, 2조9000억 원이라는 국민의 혈세를 투입하는 특혜를 줬다”며 “불과 수백억 원만 투입하면 정상화가 가능한 군산조선소에 아무런 대책을 제시하지 않는 것은 명백한 지역차별”이라고 주장했다.

전북상협 이선홍 회장은 “군산조선소 존치를 위해 현대중공업은 울산에 편중된 조선 물량을 군산에 배분하라”며 “최근 대우조선해양에 배정한 현대상선 발주물량도 재검토를 거쳐 군산조선소에 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북도의회는 지난달 24일 정부와 대선 후보들에게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문제 해결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김광오 기자 kokim@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