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9일부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순방에 나섰다.
지난해 말 취임한 이시바 총리가 다자 회담 참석 외에 양자 회담 목적으로 해외를 순방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2.0 시대를 앞두고 고조되는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포석인 동시에 아세안 외교를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공세 수위를 높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9일 이시바 총리는 출국에 앞서 "국제사회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동남아시아와의 관계는 지금까지 이상으로 중요시해 나가고 싶다"며 "미국·중국·유럽·중동도 있지만 아세안과의 관계를 강화·진전시키려 한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10일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11일에는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각각 정상회담을 하고 12일 귀국할 예정이다.
이시바 총리는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위한 양국의 협력은 지역 평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런 인식하에 정상회담에 임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말레이시아가 공급하는 에너지, 반도체, 희토류 등을 언급하며 "양국 경제관계의 진전을 확인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이시바 총리는 2월 이후 미국을 방문해 대통령에 취임한 트럼프 당선인과 미·일 정상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