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분기만에 흑자 전환했지만
위험 큰 은행 두배 이상 늘어
당국, 2곳 적기시정조치 검토
위험 큰 은행 두배 이상 늘어
당국, 2곳 적기시정조치 검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저축은행 79곳 중 절반이 10% 이상 높은 연체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로 자산 건전성이 손상된 모습이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으로 저축은행 2곳에 적기시정조치를 내리는 등 건전성 회복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3분기 경영 실적을 공시한 저축은행 중 36곳(45.6%)은 연체율이 10%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3분기엔 연체율이 두 자릿수인 저축은행이 14곳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만에 2.6배 늘어난 셈이다.
올해 3분기 국내 저축은행 79곳이 당기순이익 258억원을 기록하며 6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지만, 건전성 악화는 지속되고 있다. 연체율은 안국(19.3%), 유니온(16.3%), 스카이(15.8%), 라온(15.8%), 드림(15.2%), 영진(15.2%), 상상인(15.0%) 순서로 높았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20%를 돌파한 곳도 솔브레인(36.9%), 안국(24.8%), 대아(22.6%), 상상인(22.2%) 등 4곳에 달했다. 고정이하여신은 향후 채권 회수가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부실 채권을 의미한다.
저축은행 건전성이 악화한 건 부실 부동산 PF 매각에 속도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저축은행들이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나섰지만, 부동산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수도권 사업장 외에는 별반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저축은행 경·공매 현황’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10월 말까지 경·공매를 통해 정리한 사업장은 총 40건, 규모로는 3292억원이다. 정리 대상으로 분류된 사업장 중 금액 기준으로 15% 수준이다.
금융위원회는 건전성 회복이 시급한 2곳에 조만간 적기시정조치를 내리려고 준비하고 있다. 적기시정조치는 자산 건전성이나 자본 적정성 지표가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당국이 내리는 경영 개선 처방책이다.
다만 현재 거론되는 저축은행은 적기시정조치 가운데 가장 낮은 단계인 ‘권고’ 등급이 매겨질 공산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권고를 받은 저축은행은 인력·조직 운영 개선, 경비 절감, 부실 자산 처분 계획을 당국에 제출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