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2 (목)

[단독] 이재명 재판 앞두고...사법부 숙원 '판사임용 완화법' 발의한 野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판사 임용에 필요한 최소 법조 경력 기간을 10년에서 5년으로 단축하는 ‘판사 임용 자격 완화법’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22대 국회에서 재발의 됐다.

중앙일보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법사위 간사와 김용민 의원의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당 원내정책수석부대표인 김용민 의원은 지난 14일 이러한 내용의 법원조직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판사로 임용되려면 쌓아야 하는 최소 법조 경력(검사·변호사 등의 경력)을 5년으로 못 박는 것이 골자다. 최소 법조 경력은 2013년 3년을 시작으로 2018년 5년으로 확대됐고 2025년부터는 7년, 2029년엔 10년으로 확대될 예정인데, 현행 수준인 5년으로 묶어두자는 것이다.

김 의원은 제안 이유에서 “판사 지원자가 충분하지 않아 우수한 인재가 임용되지 못하고 있고, 고령화되며 효율성도 저하되고 있다. 현행법대로 요건이 강화될 경우 사건 처리 지연 등의 문제는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신 개정안에는 ‘10년 미만의 법조경력을 갖춘 판사는 재판장이 될 수 없도록 한다’(제42조의3)는 내용도 추가해 저연차 판사에 대한 일부 제한을 뒀다. 개정안은 민주당 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주도했다. 법사위 간사인 김승원 의원과 최고위원인 전현희 의원 등 총 21명이 이름을 올렸다.

중앙일보

대법원 이미지.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판사가 되기 위한 최소 경력을 요구하기 시작한 것은 2011년 법조일원화 제도가 도입되면서다. 이전에는 사법연수원 수료생 중 성적 우수자를 바로 판사로 선발했다. 이에 연수원을 갓 수료한 젊은 판사가 사회 경험이 부족해 국민의 법 감정을 재판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시민사회 등의 지적도 나왔다. 그러자 18대 국회에서 여상규·이주영 당시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이 주도해 판사 임용 자격 강화법안을 국회에서 통과시켰다.

법안이 통과되자 법조계를 중심으로 판사 지원 인력이 감소해 재판 지연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실제 대법원에 따르면 2018년 민사 단독은 1심 선고까지 평균 4.6개월, 민사합의 사건은 9.9개월이 걸렸지만, 2023년에는 각각 7.6개월과 14개월로 늘어났다.

이에 조희대 대법원장은 6월 14일 “한국은 3명이 재판하는 합의부를 유지하고 있다. 젊은 배석판사와 경륜을 토대로 유무죄를 가릴 수 있는 재판장이 상호 보완해야 한다”며 최소 경력에 대한 완화 필요성을 제기했고, 대법원 산하 법원행정처 직원들도 법사위 소속 의원실을 찾아다니며 개정 필요성을 설명해왔다.

한편 사법부의 숙원 사업을 국민의힘보다 민주당이 먼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자,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표의 재판을 앞두고 사법부와의 관계 개선을 노리는 것 아니냐”(야권 관계자)는 분석도 나온다. 3년 전에도 비슷한 내용의 법안이 국회 본회의까지 올랐지만, 민주당 내에서 반대 목소리가 커지면서 무산됐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모습. 김성룡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판사 출신의 이탄희 민주당 의원은 2021년 9월 본회의에서 반대 토론에 나서 “임용 경력을 5년으로 퇴보시키면, 법원은 변호사 시험 성적이 좋은 사람을 재판연구원으로 ‘입도선매’하고 대형로펌은 향후 판사로 점지된 이들을 영입하기 위한 경쟁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에 개정안을 재발의한 김용민 의원과 김승원 의원도 당시 표결에서 각각 기권표와 반대표를 던졌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정치적인 고려를 떠나서 재판이 더 이상 지연이 되지 않도록 상황을 개선하겠다는 취지”라며 “이외에도 법관 증원 등에 대한 당내 의견을 모아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정재 기자 kim.jeongja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