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가스공사·한전 1분기 이자로만 1조5000억원...공공요금 오르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비즈

서울 중구 한 주택가에 전자식 전력량계가 설치돼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팔수록 손해인 가격에 전기와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시름이 깊어져만 간다. 양사는 250조원에 육박하는 막대한 부채로 올해 1분기에만 1조5600억원의 이자 비용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이상 공공요금 인상을 미룰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6일 양사 재무제표에 따르면 1분기에 한전은 1조1500억원을, 가스공사는 4100억원을 각각 이자비용으로 부담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에너지 위기로 2022년 이후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에 전기와 가스를 공급한 결과다.

지난해 말 한전과 가스공사의 연결 기준 총부채는 각각 202조5000억원, 47조4000억원으로 합산 250조원에 이른다. 이 같은 부채 규모는 사상 최고치다. 올해 3월 말 기준 한전과 가스공사의 총부채는 각각 200조9000억원, 46조9000억원으로 소폭 줄었으나 재무 위기 상황은 여전하다.

양사가 올해 1분기에 부담한 이자는 하루 평균 167억원에 달한다. 이런 추세라면 한전과 가스공사는 올해 한 해 4조~5조원을 이자로 지불할 수도 있다. 지난해 한전과 가스공사는 각각 4조4500억원과 1조6800억원 등 총 6조 1300억원을 이자비용으로 지출했다.

문제는 양사 모두 지난해부터 비핵심 부동산 매각, 투자 시기 이연, 임직원 급여 반납, 명예퇴직 등 다양한 자구 노력에 나서고 있지만 부채가 줄고 있지 않다. 이에 한전과 가스공사 사장들은 요금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지난 16일 기자간담회에서 “한전 노력만으로 대규모 누적적자를 더이상 감당할 수 없는 한계에 봉착했다”며 “최후의 수단으로 최소한의 전기요금 정상화는 반드시 필요함을 정부 당국에 간곡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은 지난 22일 기자들과 만나 “현재 미수금 규모는 모든 직원이 30년 동안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가 불가능하다”며 “극단적 상황을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고 있지만, 자구 노력만으로 해결이 불가능해 안정적 가스 공급을 위한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전문가들도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는 현 세대가 전기를 저렴하게 사용해 다음 세대에게 부담을 지우고 있는 구조이며, 한전과 가스공사의 누적되는 적자에 충격을 입는 상태까지 두고 보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시선이다.

최서진 기자 west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