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케이알피앤이, 그린뉴딜·해상풍력으로 성장 다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파이낸스

[세계비즈=이경하 기자] 일자리 문제에 있어 그린뉴딜이 핵심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그린뉴딜이 부각되는 것은 기존 화석연료 중심의 경제구도에서는 성장과 친환경이 공존할 수 없지만, 신재생에너지는 성장과 친환경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경제개발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존 신재생에너지의 한계로 부딪쳤던 육상풍력 대신 해상풍력이 급부상할 전망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3020 전략에 따르면 `18~30년 신규설치용량(48.7GW)의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 중심으로 공급할 계획을 갖고 있다. 다만 육상풍력의 경우 현재 제한적 입지 및 소음으로 인해 개발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해상풍력의 경우 바닷가 연안에 설치돼 부지 확보가 용이하고, 소음 민원이 없어 지속적으로 성장이 가능한 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해상풍력은 육상보다 발전기 자체를 키울 수 있고, 바람이 잘 불어 설비이용률이 육상대비 2배 이상 높다. 이에 영국에서는 신규 원전보다 발전단가가 저렴한 풍력발전 프로젝트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독일 및 네덜란드에서는 보조금 제로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다.

이런 가운데 바이오연료, 연료전지, 풍력발전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케이알피앤이가 160MW 규모의 칠산 해상풍력발전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국내 최대규모의 풍력발전인 영광풍력발전(79MW)을 비롯해 국내 최대규모의 태양광발전인 광백태양광발전(99MW)을 개발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대한그린에너지와 케이알피앤이가 공동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케이알피앤이 관계자는 “동 프로젝트의 성공은 향후 신재생에너지 선도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전남 영광 두우리 인근 해상 전체 300MW 규모의 프로젝트의 일부로 전체 사업규모가 1조2000억원이 넘는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다. 해상풍력 발전의 영업이익률이 50% 내외로 알려지면서 케이알피앤이의 외형확대와 수익성 확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고 관계자는 전했다.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는 이제 막 사업의 도입기를 지나가고 있다”며 “사업 확산이 산업 확장기에 이뤄지는 만큼 기존에 준비한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그린뉴딜, 해상풍력과 함께 더욱 발전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lgh0811@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