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KRX, 대표지수 산출법 개선… 코스피200 종목변경 연 2회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코스피 200 구성종목 선정방법. 자료 한국거래소


국내 증시 대표 지수인 '코스피200' 구성 종목 정기변경이 연 1회에서 연 2회로 늘어난다. 이와 함께 '코스닥150' 구성 종목 선정 시 기술주와 비기술주 구분도 사라진다.

한국거래소는 "지수 산출 방법이 대폭 개선된다"며 "코스피200과 코스닥150이 시장 상황을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수 산출 방법을 내년 6월 정기변경부터 적용할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코스피200 정기 변경이 연 2회로 늘어났다. 기존엔 6월에 한번 시행됐으나 개정안에 따라 12월까지 2번에 걸쳐 정기변경된다. 변경 주기가 짧아지면서 구성 종목 선정에 필요한 일평균 시가총액과 일평균 거래대금 산정 기간도 1년에서 6개월로 단축됐다.

또한 지수 편입을 위한 심사 대상군(유니버스)의 최소 상장 요건 기간도 1년에서 6개월로 줄어든다.

코스피200 구성 종목 선정기준 중 시가총액 기준도 완화된다. 거래소는 산업군별로 '누적 시총 비중 80% 이내'인 종목을 선정하도록 한 규정을 '누적 시총 비중 85% 이내' 종목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대표성을 지닌 종목의 코스피 200 신규편입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메트로신문사

코스닥 150 산업군 분류. / 자료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의 대표 지수인 코스닥150도 산출 방법이 대폭 바뀌었다. 우선 기술주와 비기술주 구분을 폐지해 개별 산업군별로 기준을 충족하는 종목을 선정할 방침이다. 여기에 원천적으로 지수에서 배제됐던 금융 섹터도 심사 대상군에 포함하기로 했다.

그동안 거래소는 코스닥150 구성 종목을 선정할 때 우선 비기술주에서 산업군별로 종목을 선정해왔다. 이후 남은 종목은 기술주에서 산업군 구분 없이 시가총액 순서로 정하는 식이었다.

거래소 관계자는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라 기술주와 비기술주 구분이 모호해진 상황을 고려해 대표 지수 간 다른 산출 방법도 일관성 있게 통일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코스닥시장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금융섹터를 배제하지 않는 등 산업분포를 보다 고르게 반영했다"고 덧붙였다.

송태화 수습기자 alvin@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