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글로벌 e커머스 시장 상위 中차지...韓 대응·정책개선 마련 시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e커머스 시장에서 중국발 e커머스기업들의 성장이 가파르다. 특히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국내 e커머스 시장에서 중국 발 e커머스의 공략이 거세지자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통산 정책 개선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경제인연합회(이하 한경협)이 지난 17일 발표한 '최근 5년간(2018~2023년) 글로벌 e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e커머스 시장은 2018년 2조9000억 달러에서 지난해 5조8000억 달러로 2배 수준으로 성장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기간 e커머스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14.6%)은 전체 소매업 성장률(4.4%)의 3.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계 e커머스 기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중국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징동닷컴을 비롯해 알리바바, 테무의 모기업인 핀둬둬 등 중국 이커머스 '빅3' 기업의 최근 5년간 매출 성장률(CAGR) 평균은 연 41%로 글로벌 e커머스 시장 성장률(14.6%)보다 2.8배나 높았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글로벌 e커머스 기업의 매출 순위에 따르면 1위는 아마존(미국)이 차지했으며 이어 2위부터 4위까지는 중국이 차지했다. 각각 징동닷컴, 알리바바,핀둬둬다. 한국은 쿠팡으로 5위를 기록했다.

업계는 글로벌 e커머스 시장에서 중국기업이 빠른 시간에 3개나 차지한 것은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입모아 말한다. 그만큼 빠르게 시장에 잠식하고 있는 상황인 것.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e커머스 시장 규모는 역대 최고치인 228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세계 시장에서는 중국 3954조2000억원, 미국 1521조6000억원, 영국 256조3000억원, 일본 252조9000억원에 이어 세계 5위로 조사됐다.

지난해 한국의 중국 e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3조3000억원으로 2022년 대비 121.2% 증가했다. 이는 1조9000억 원을 기록한 미국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미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4년 이후 줄곧 한국의 최대 e커머스 구매 국가였으나, 지난해 알리, 테무를 필두로 하는 중국에 처음으로 역전당했다.

눈여겨볼 점은 2021년을 기점으로 한국의 해외 e커머스 구매액이 판매액을 앞질러 적자 전환됐다는 점이며, 지난해 적자 폭은 5조1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를 기준으로 국내에서 활동하는 e커머스 플랫폼 순위를 살펴보면 중국 e커머스 플랫폼들은 지난해 이후 불과 1년 6개월도 안 된 시점에서 11번가, G마켓 등 국내 주요 기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월 국내 e커머스 기업 순위는 쿠팡, 11번가, G마켓, 티몬, 알리익스프레스 순으로 1~4위에 국내 기업이 포진했다. 하지만 지난달 기준으로는 쿠팡이 여전히 1위를 지킨 가운데 알리 2위, 11번가 3위, 테무 4위, G마켓 5위로 중국기업에 2위와 4위 자리를 내줬다.

특히 지난해 7월 국내에 진출한 이후 1년도 되지 않아 다섯손가락 안에 들어간 테무는 3위 기업인 11번가와의 격차도 이용자 수 기준으로 약 3만 명 밖에 나지 않는 등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다.

한경협은 글로벌 e커머스 시장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중국계 e커머스 기업의 국내 시장 잠식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나면서 ▲규제 중심의 유통 정책 개선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제조사 지원 등의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국내 유통 기업의 활동을 제한해 역차별 논란이 있는 규제 중심의 '유통산업발전법'을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내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는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공휴일 의무 휴업과 영업시간을 제한받고 있으며 온라인 구매 배송도 동일하게 규제받고 있다.

아울러 소비자들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해 식·의약품, 가짜 상품, 청소년 유해매체, 개인정보 침해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 온라인 플랫폼의 소비자보호의무 이행 현황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 e커머스 기업은 중국 국가정보법에 따라 e커머스 사업으로 확보한 정보를 필요 시 중국 정부에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만큼, 정보 유출의 우려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국내 유통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플랫폼 입점 지원, 해외공동물류센터 등의 인프라를 구축, 국내 중소 업체의 해외판매(역직구)를 지원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중소 제조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브랜드·마케팅 역량 및 품질향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특히 외국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전자상거래법 개정 등을 통해 개인정보 해외 유출 제한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