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기초·원천연구개발(R&D) 실행계획 확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근본적인 자립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정부의 구체적 기초·원천연구개발(R&D) 실행계획이 확정됐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일 율촌화학에서 개최된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 참석한 가운데 '산학연 융합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기술 조기 확보방안(과기정통부)', '소재부품장비 기술 조기 자립화 촉진을 위한 IP R&D 강화방안(특허청)' 등이 심의·확정됐다.

율촌화학은 올해부터 추진되는 과기정통부의 '소재융합혁신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이다.

과기정통부는 주력산업 기술 자립과 미래 준비 균형 지원을 위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주력산업 분야에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전략 소재·부품의 '중점요소기술'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범부처 '100+α 핵심품목' 분석과 연계해 투자분야를 확정하고, 타부처 기술개발 사업과 역할 분담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중장기 관점에서 신산업·시장 창출을 위한 미래소재·부품, 첨단연구·검사장비 및 측정·분석기술 등 선제적 투자도 병행한다.

또한 대학 중심의 기초연구실을 신규 지정하고 신물성 발견 연구단 확대 등 중장기적 관점의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원천 연구를 확대하고, 원천기술기반형 응용연구 투자를 대폭 강화한다.

맞춤형 관리 및 부처간 협력으로 조기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R&D지원 유형을 도전형(창의적 연구주제), 경쟁형(복수연구단 경쟁), 플랫폼형(기술개발·인프라 보유 기관 정책지정) 등으로 다변화한다.

국가 R&D자원의 연계·활용 강화를 위해 나노팹, 방사광가속기 등 첨단연구시설과 연구개발특구를 활용, 기초·원천 연구 및 연구성과 상용화를 적극 지원하고, KAIST 등 4대 과기원 및 25개 출연(연)이 보유한 연구인력 및 인프라의 기업 지원 기능도 강화할 계획이다.

채윤정 기자 echo@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