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Q:주체사상 바탕, 사회가 가족이라는 의식은? A:집단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교육청 중·고생 대상 '이상한 퀴즈대회'

서울시교육청이 중·고생을 대상으로 개최한 '평화 통일 골든벨' 퀴즈 행사에서 북한을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과 함께 '비공식 핵보유국'으로 설명하는 해설 자료를 만들어 논란이 되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자유한국당 김한표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8월 서울 지역 중·고생 858명을 대상으로 '평화 통일 골든벨' 행사를 열었다. 교육청은 행사에 앞서 일선 학교에 예상 문제 100문항을 배포했다. 여기에는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인정한 핵보유국'을 묻는 질문이 포함됐다. 교육청은 정답을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중국'이라고 제시한 뒤, 문제 해설 자료에 'NPT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았으나 사실상 핵보유 국가로 인정받고 있는 비공식 핵보유국으로는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 북한이 있다'고 설명했다. 풍계리 핵실험장에 대해선 "북은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완전한 비핵화의 이행 조치로 폐쇄를 전격 선언하고, 세계 기자들을 불러 공개적으로 갱도를 폭파했다"고 밝혔다.

본선 행사는 중·고생 162명이 참가한 가운데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렸다. 예산 5000만원이 들어갔다. 본선에서도 북한 체제 미화 논란이 일었다. 주최 측은 정답이 '집단주의'인 문항에서 "이것은 주체사상을 정신적 바탕으로, '우리식 사회주의'를 중심으로, '온 사회가 한 가족이라는 공동체 의식(사회주의 대가정)'으로 표현된다. 이것은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또 정답이 '상품 공급권'인 문항에서는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 임금을 북한 당국이 가져간다고 알고 있다"며 "그러나 이것은 북측 근로자들의 임금 지급 체계를 모르고 하는 이야기"라고 했다. 그러면서 "북측에서는 노동 보수의 30%는 무상 교육·무상 의료 등의 소위 사회주의 국가 시책 운영 기금으로 공제하고, 나머지 70%는 대부분 '이것'으로 지급된다"고 설명했다.

김한표 의원은 "본선 30문항, 예상 문제 100문항 어디에도 세계 최악의 북한 인권 실태와 3대 독재 세습에 관련한 문제는 없었다"고 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행사 개최 목적이 통일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이고, 남북 간의 각종 공동선언 등을 주된 출제 범위로 하다 보니 북한의 부정적 모습이 부각되지 못했다"고 했다.

[원선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