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KT, 텀블러 크기 AI 스피커 '기가지니 LTE' 출시…50만 가입자 목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KT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임헌문 KT 매스총괄 사장과 모델들이 기가지니 LTE(좌), 기가지니 버디(우), 기가지니 키즈워치(중앙)를 소개하고 있다. / KT


KT가 인공지능(AI) 단말을 롱텀에볼루션(LTE) 스피커 등으로 확대하며 AI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임헌문 KT 매스총괄 사장은 23일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가지니 LTE와 같은 후속 서비스를 통해 인공지능을 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도록 만들겠다"며 "올해 1월 기가지니를 출시한 지 10개월 만에 가입자 수가 40만명에 육박했으며 이번 기가지니 LTE 출시로 연말까지 가입자 5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날 KT는 지난 1월 출시한 AI 셋톱박스 '기가지니'에 이어 텀블러 크기의 AI LTE 스피커 '기가지니 LTE'를 선보였다. 내년 초에는 기가지니 LTE의 절반 크기인 '기가지니 버디', 키즈워치인 '기가지니 키즈워치'도 출시한다.

기가지니 LTE는 블랙 컬러 원통형의 디자인으로 텀블러와 비슷한 크기(7×7×17㎝)다. 하만카돈 스피커를 탑재해 음악 콘텐츠에 최적화했다. 또 기가지니 플랫폼을 기반으로 지니뮤직·뉴스브리핑·라디오와 같은 '미디어 서비스', 감성대화·생활정보조회·지식검색·일정·교통·주변검색 등 '대화형 비서 서비스', 도어락·안전밸브·가전기기 제어와 같은 '홈 IoT 기능'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LTE 라우터 기능도 추가됐다. 야외에서도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서 무선 인터넷을 쓸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은 4100mAh로 오디오 재생 기준으로 최대 8시간 연속으로 이용할 수 있다.

출시 가격은 26만4000원이지만, LTE 데이터 요금제로 제공되는 공시지원금을 적용하면 실 구매가는 5만9000~9만8000원이다. KT는 올해 연말까지 구매하는 이용자에게는 전용 케이스와 지니뮤직 이용권을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다.

데이터 요금제는 KT 모바일 65.8요금제(월 6만5800원)이상 이용하는 고객이라면 월 1만1000원의 '데이터투게더Large'요금제를 이용하는 게 유리하다. 특히 KT 모바일 76.8(월 7만6800원)이상 이용하는 고객이라면 '데이터투게더Large'요금제를 50% 할인된 월 55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내년 1월 중 출시될 예정인 기가지니 버디는 기존 기가지니가 주로 거실에서 사용했던 것과 달리 방, 부엌, 서재, 욕실 등 어떤 공간에서 이용이 가능해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가지니와 연동 시 TV 및 지니 뮤직 제어, 홈 사물인터넷(IoT) 제어가 가능해 내방에서도 편리하게 집안 곳곳을 제어할 수 있다.

KT는 키즈워치를 활용해 AI 키즈 시장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내년 1~2월 중 출시 예정인 '기가지니 키즈워치'는 호기심이 왕성한 아이들에게 적합하도록 음성명령으로 정보검색을 할 수 있으며 지능형 대화까지 지원한다. 기가지니 키즈워치는 음성통화, 짧은 메시지 송수신, 카메라 등 유용한 기능과 함께 어린이 안전을 위해 상황 알림, 긴급 통화, 무전톡 등 부가 서비스를 추가할 예정이다.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은 캐릭터 '무민'을 디자인에 활용하고, 500만화소 카메라를 장착한다. 블루, 핑크 2가지 컬러로 출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KT는 기가지니를 중심으로 AI 생태계 조성에도 집중한다. 지난 6월에는 개발자 포털과 함께 기가지니 서비스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공개했다. 또 지난 10월에는 제휴사, 개발사들이 기가지니에 원하는 대화 서비스를 구현 및 적용할 수 있는 '다이어로그 키트', 안드로이드OS 및 IOS 음성인식 라이브러리를 추가한 '보이스 키트 등 3가지 기가지니 AI 개발 키트를 공개했다.

KT는 기가지니 패밀리 공개를 시작으로 개인별 맞춤형 AI 이용을 위해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임헌문 사장은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업해 인공지능 생태계를 구축하고,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나인 기자 silkni@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