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핵연료 반출 3년 지연…작업 난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1년 대지진과 지진해일(쓰나미)로 수소폭발 사고가 났던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의 폐로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도쿄전력이 운영하는 후쿠시마 제1원전의 사고 수습 로드맵을 수정해 1,2호기에 보관 중인 사용후 핵연료 반출 개시 시점을 2020년에서 2023년으로 3년 늦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정이 늦춰진 것은 원자로 건물 내의 방사선량이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협할 정도로 높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1호기의 원자로 윗부분 격납용기 지붕 부분이 붕괴된 점을 고려해 1호기와 2호기 모두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들여 방사선량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1호기는 원전사고 당시의 수소폭발로 격납용기 상부의 무게 500t 콘크리트 지붕이 붕괴됐고, 지붕 사이로 매 시간 400 밀리시버트(m㏜)의 높은 방사선이 흘러나오고 있다.

사용 후 핵연료의 반출은 30~40년 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후쿠시마 폐로 과정에 중요한 쟁점 3가지 중 하나다. 폐로를 위해서는 원자로 내 사용 후·미사용 핵연료를 빼내야 하며 노심용융(멜트다운·meltdown)으로 녹아내린 핵 데브리(잔해를 뜻하는 프랑스어 'debris')의 상태를 파악해 끄집어내야한다. 그 과정에서 원전 내부에서 늘어나고 있는 오염수를 저장해놨다가 처리하는 작업도 필수다.

사용 후 핵연료 반출은 문제가 된 1~4호기 중 4호기에 대해서만 완료(2014년 12월)됐고 3호기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작업이 시작된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는 2011년 3월 11일 인근 미야기(宮城)현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대지진의 영향으로 대형 사고가 났다. 쓰나미가 원전을 덮치자 전원 공급이 멈추며 냉각 기능이 마비됐고, 멜트다운과 수소폭발이 발생해 방사성 물질이 대량 유출됐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대규모 인력을 동원하고 관련 전문가의 지혜를 모아 폐로 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사고 수습 로드맵을 고친 것은 이번이 4번째다. 사용후 핵연료 반출 개시 시점은 지난 2015년에도 이미 한차례 늦춰진 바 있다. 이들은 가장 큰 난관인 핵 데브리 반출과 관련해서도 이제 막 일부 데브리의 윤곽만 확인했을 뿐 구체적인 작업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로드맵은 다만 원전을 완전히 폐로하는 목표 시점으로 기존과 같은 '30∼40년 후'로 유지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