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한중大 공립화로 폐교위기 극복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환동해권 맞춤형 공립대로 개편해야”… 동해시의회 등 범시민 운동 전개

9월말 학교 폐쇄 앞두고 결과 관심

동아일보

한중대공립화추진범시민대책위원회가 올 4월 동해시청 앞에서 공립화 촉구 집회를 연 뒤 시가행진을 하고 있다. 한중대공립화추진범시민대책위원회 제공


폐교 위기를 맞은 강원 동해시 한중대를 살리기 위한 범시민 운동이 전개되면서 지역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중대는 2차례에 걸친 감사와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E등급을 받은 데다 2004년 종합감사에서 전 총장이 교비 244억 원을 횡령 및 불법 사용한 것이 드러났다. 또 교직원의 임금 체불액도 333억 원에 이른다. 이 때문에 교육부는 지난달과 이번 달 1, 2차 시정 요구했다. 요구가 이행되지 않으면 한 차례 더 이행 명령을 내린 뒤 행정예고, 청문 등을 거쳐 9월 말까지 학교 폐쇄를 명령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동해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은 한중대의 폐교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공립화 추진에 적극 나서고 있다. 27일 동해시의회에 따르면 의원 일동 명의로 ‘한중대 공립화’ 촉구 결의문을 채택하고 강원도와 도의회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동해시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한중대의 폐교 위기는 매우 참담하고 모든 동해시민에게 충격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며 “한중대가 환동해권 맞춤형 공립대학으로 개편해 보건의료, 해양수산 양식, 산업물류·항공·항만 등 연구 중심대학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공립화돼야 함을 결의한다”고 밝혔다.

동해지역 200여 개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한중대공립화추진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지역사회에서 후원받은 성금 가운데 1000만 원을 26일 한중대에 전달하고 교직원들을 격려했다. 이 돈은 한중대의 재산 감정평가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한중대와 범대위는 19일 강원도를 방문해 공립화 방안을 논의했고 도는 재산 감정평가서, 설립자 기부동의서, 구조조정안 등의 제출을 요구했다.

앞서 범대위는 4월 시민 4만7000여 명의 공립화 추진 서명을 받아 서명부를 강원도에 전달했고 시민 10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한중대 공립화 촉구를 위한 집회와 거리행진을 벌이기도 했다.

한중대는 입학 정원이 603명, 교직원수 197명으로 지난달 말 기준 1442명이 다니고 있다. 학교가 폐쇄되면 재학생은 인근 대학 편입학이 검토된다. 홍협 범시민대책위 정책담당은 “동해시의 유일한 대학인 한중대가 폐교되면 동해지역 고교 졸업생들이 전원 타 시도로 진학하게 돼 가계 부담이 가중되고 구인난과 지역경제 타격이 예상된다”며 “대학이라는 사회 구성원의 한 축이 사라지는 만큼 정부와 강원도가 이를 감안한 교육 행정을 펼쳐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인모 기자 imlee@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