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
농식품부, 물가 안정 위해 외식업계 협조 당부
농림축산식품부가 17개 주요 외식 기업과 3개 외식 관련 단체 대표 및 임원과 만나 정부와 업계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2025.02.25 18:00
- 연합뉴스TV
-
농식품부, 외식업계에 "물가안정 협조해달라"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외식업체들을 만나 물가안정 기조에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박범수 농식- 2025.02.25 18:00
- 연합뉴스
-
2023년 평균 월급 363만원…물가보다 덜 올라, 집계사상 처음
2023년 직장인의 평균 월급이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비율로 올랐다. 통계 집계 사상 처음이다. 25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 2025.02.25 17:23
- 중앙일보
-
“밖에서 사먹기 너무 비싸요” 고물가에 집밥족이 선택하는 ‘이것’
GS샵, 원물형 간편식 판매 인기 손질 고등어, 2년째 100억원 매출 고물가로 외식 대신 집밥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 2025.02.25 10:55
- 매일경제
-
'고물가에 홈쿡이 대세'…GS샵 "손질된 원물 간편식 인기"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TV홈쇼핑 GS샵은 고물가로 집밥 수요가 늘면서 축·수산물 원물형 간편식이 인기를 끌고 있다- 2025.02.25 09:29
- 연합뉴스
-
SK이노 노사, 임금 2.3% 인상 타결…"물가 연동 원칙 지켜"
SK이노베이션 노사가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을 2.3%로 확정·합의했다. 전년도 소비자물가지수에 연동해 인상률을 정한다는 양측의- 2025.02.25 08:00
- 아시아경제
-
트럼프 복귀 한달…美소비자 "물가 불안" vs 기업인 "경제 낙관"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미국 일반 소비자들과- 2025.02.24 11:16
- 연합뉴스
-
안산시, 지역경제 대상 2관왕…물가안정·경제 활성화 노력 인정
안산시(시장 이민근)는 '2024년 대한민국 지역경제 대상'에서 물가·소비자 부문 금상과 지역혁신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2025.02.24 11:05
- 연합뉴스
-
“2050년 나랏빚 4000조, GDP 규모 넘어서”
앞으로 25년 뒤에는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서고 2072년에는 7300조 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2025.02.24 03:00
- 동아일보
-
미국 PCE 물가 지표 발표 앞두고 시장은 "둔화 전망"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지난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깜짝 상승'한 가운데 오는 28일(현지시간) 발표- 2025.02.23 09:48
- 연합뉴스
-
고물가 속 보물찾기…의류 '오프 프라이스' 매장이 뜬다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만성화된 고물가 시대를 맞아 의류 할인 유통 플랫폼인 오프 프라이스 매장(Off-Price- 2025.02.23 07:01
- 연합뉴스
-
“울 아이 안 먹일수는 없고”…고물가·고금리에 30%나 수입 급증한 ‘이것’
멸균유 수입량 1년 새 30% 증가 역대 최대 수입량인 4만8671t 국내산 우유의 절반도 안되는 가격 고물가 영향으로 저렴한- 2025.02.22 09:22
- 매일경제
-
日 1월 물가 3.2% 상승 1년 7개월만에 최고치
일본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신선식품 제외)가 2023년 6월 이후 1년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식료품·에너지 가격과 인건비가 상승한 게- 2025.02.21 17:53
- 매일경제
-
“물가 때문에 못살겠다”...쌀 값 70% 넘게 급등한 이 나라
신선식품 포함 日1월 소비자물가 4% 상승...2년만에 4%대 진입 지난해 근로자 실질 임금 3년 연속 줄어 日국민 82% “- 2025.02.21 17:04
- 매일경제
-
日 1월 소비자물가 3.2%↑…19개월만 최고
일본의 1월 소비자물가(신선식품 제외)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2% 상승했다고 총무성이 21일 발표했다. 이는 2023년 6- 2025.02.21 10:46
- 아시아경제
-
최 대행 “GDP 대비 80% 수준까지”… 이달 중 가계부채 관리방안 발표
21일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앞으로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올해- 2025.02.21 10:43
- 한국일보
-
野임광현, 근로소득세 기본공제 확대·물가연동제 도입 제안(종합)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민경락 기자 =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은 21일 실질임금 감소를 부르는 고물가 상황에서 월급쟁이들의- 2025.02.21 10:10
- 연합뉴스
-
野임광현, 근로소득세 기본공제 확대·물가연동제 도입 제안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기자 =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은 21일 실질임금 감소를 부르는 고물가 상황에서 월급쟁이들의 근로소- 2025.02.21 09:50
- 연합뉴스
-
日 1월 소비자물가 3.2% 상승…19개월만의 최고치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일본의 1월 소비자물가(신선식품 제외)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2% 올랐다고 총무성이 2- 2025.02.21 09:49
- 연합뉴스
-
최상목 “가계부채 GDP 대비 90→80%대로 안정화해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최근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가계부채가 다시 증가하지 않도록 유의- 2025.02.21 09:33
- 경향신문
-
생산자물가 석달째 오름세…소비자물가 또 오르나 [3분 브리프]
MARKET INDEX ○예상 밑돈 월마트 실적 전망에 투심 압박 ○신규 실업수당 청구 증가에도 '고용 견조' ○美 재무 발언- 2025.02.21 08:00
- 아시아경제
-
고유가에 생산자물가 17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딸기 등 제철 과일을 중심으로 생산자물가지수가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국제 유가 상승으로 휘발유와 경유 가격도 크게 올랐다. 시차를 두- 2025.02.21 03:00
- 동아일보
-
'금딸기'에 생산자물가 '껑충'...17개월 만에 최대 오름폭
[앵커] 요즘 장 보러 가면 제철 과일이 맞나 싶을 정도로 딸기나 귤 값이 비싸죠. 이런 '금딸기'를 포함한 농산물 가격이 많- 2025.02.21 00:28
- YTN
-
충격의 ‘고물가 한파’ 과일까지 다 얼렸다…냉동과일 수입 신기록
신선 과일값이 뛰자 저렴한 냉동 과일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냉동 과일 수입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5.02.21 00:02
- 중앙일보
-
월급쟁이 세금, 기업 육박…‘물가연동세’ 재점화
━ 이재명이 다시 키운 논란 “월급쟁이가 봉인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물가연동 소득세’ 논의에 불을 지폈다. 물가가 오르는 만큼 소득세 과세표- 2025.02.21 00:01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