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6 (일)

이슈 물가와 GDP

“물가 때문에 못살겠다”...쌀 값 70% 넘게 급등한 이 나라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선식품 포함 日1월 소비자물가
4% 상승...2년만에 4%대 진입
지난해 근로자 실질 임금 3년 연속 줄어
日국민 82% “정치 불만”...‘고물가’도 원인


매일경제

일본 도쿄 거리. [AFP 연합뉴스]


일본의 1월 소비자물가(CPI·신선식품 제외)가 2023년 6월 이후 1년 7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식료품·에너지 가격과 인건비 상승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쌀 가격이 사상 최대폭으로 급등하는 등 고물가로 인한 부담을 호소하는 일본인들도 늘고 있다.

21일 일본 총무성은 변동성이 큰 신선식품을 제외한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기 대비 3.2% 상승했다고 밝혔다. 시장전망치 평균인 3.1%를 웃돌면서 3개월 연속 상승폭이 확대됐다. 신선식품을 포함한 소비자물가는 4.0% 오르며 2023년 1월 이래 2년 만에 다시 4%대에 진입했다.

폭염 등 이상기후와 엔저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으로 식료품 가격 오름폭이 특히 두드러졌다. 일본의 식량 자급률은 주요 7개국(G7) 가운데 가장 낮을 정도로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다.

식료품 중 신선식품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1.9% 올라 2004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신선식품 중에서도 채소 가격이 36%나 올랐다.

특히 쌀가격의 경우 70.9%나 폭등해 비교가능한 통계가 있는 1971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외식 물가도 쌀 등 원재료비와 인건비 상승 영향으로 3.1% 올랐다. 사카이 사이스케 미즈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에 “구매 빈도가 높은 쌀, 신선채소류 가격 상승은 국민들의 체감 물가와 직결된다”고 말했다.

에너지 가격도 눈에 띄게 올랐다.

휘발유 가격이 3.9%오르며 전월(0.7%) 대비 상승폭이 대폭 확대됐다. 일본 정부가 지급하던 휘발유 보조금을 축소한 여파로 분석된다. 이외에 전기요금 18.0%, 도시가스 요금도 9.6%나 오르며 전체 에너지 가격 상승률이 10.8%에 달해 가계 부담을 가중시켰다.

방일 외국인 증가도 물가 상승세를 부추켰다. 숙박료가 6.8% 오르며 전달 대비 상승폭을 키웠다.

인플레이션은 일본 국민들이 정치에 불만을 품게 하는 대표적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달 요미우리신문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일본국민 82%가 정치에 대해 “불만이 있다”고 응답한 가운데 주요인중 하나로 “고물가”가 꼽혔다.

물가 영향은 실질임금 감소로도 이어졌다. 지난해 일본의 5인 이상 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명목임금인 현금 급여 총액은 34만8182엔(약 328만원)으로 전년보다 2.9% 늘었지만,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0.2% 줄면서 3년 연속 후퇴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일본은행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물가와 관련해 “기조적으로 상승 추세가 지속되면, (과거의) 금융완화 정도를 계속 조정해 나가고 싶다”라고 말했다.

사카이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춘투에서 임금인상률이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며“임금 및 물가의 지속적 상승이 이뤄지고 있다는 판단하에 일본은행이 6월에 금리인상할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날 달러당 149엔대에서 움직이던 엔화값은 소비자 물가 발표후 달러 당 150.7엔대까지 떨어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