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이 다시 키운 논란
“월급쟁이가 봉인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물가연동 소득세’ 논의에 불을 지폈다. 물가가 오르는 만큼 소득세 과세표준(과표)을 올려 세금 부담을 줄여주자는 얘기다. 해묵은 논의지만 그만큼 쉽지 않은 주제다. 기획재정부는 “감면한 세수를 어디서 채울지도 생각해야 한다”며 난색을 표한다. 전문가는 물가연동 소득세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과표나 면세자 비중을 함께 조정하지 않으면 감세 포퓰리즘이 될 뿐”이라고 지적한다.
이를 두고 지난 19일 이재명 대표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물가 상승으로 명목임금만 오르고 실질임금은 안 올라도 누진제에 따라 세금이 계속 늘어난다”며 소득세 개편을 주장했다. 20일 민주당의 임광현 의원도 16년간 그대로인 기본공제 금액을 150만원에서 180만원으로 현실화하고, 소득세 물가연동제를 통한 실질세 부담을 낮추자는 의견을 냈다. 이 대표 직속 기구인 월급방위대(위원장 한정애)는 다음달 초 구체적인 소득세 개편안을 도출하기 위한 집담회를 열기로 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가운데 22개국이 이미 소득세에 물가연동제를 적용하고 있다. 미국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누적 증가율을 반영한 ‘생계비지수’를 기준으로 소득세 기준을 책정한다. 과표뿐 아니라 각종 공제 항목에도 물가를 연동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CPI 누적 증가율이 5% 이상일 때 소득세를 조정한다.
하지만 기재부 세제실 관계자는 “물가연동을 어디까지 할 건지부터 문제”라며 “과표만 할 건지, 인적 공제도 물가에 연동할 건지, 자영업자가 주로 내는 종합소득세는 놔둘 건지 등 조세의 큰 틀에서 볼 필요가 있는 복잡한 문제”라고 토로했다.
제도의 ‘역진성(소득이 적은 사람의 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늘어나는 것)’도 딜레마다. 한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물가연동제를 도입하면 고소득자 위주로 세수 감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물가 상승을 반영해 과표를 바꾸면 적어도 현행보다 연 10조원 이상의 세금이 덜 걷힐 것으로 예측된다. 국채를 더 발행하거나, 세출을 줄이거나 다른 세원을 발굴해야 하는데 어느 하나 녹록지 않다. 2023년 기준 한국 근로소득세 면세자 비율은 33%인데, 물가연동제를 도입하면 이 비율이 더 오를 수 있다.
세종=김연주 기자 kim.yeonjoo@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