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식 극명한 대조
미국 유통업체 매장 |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미국 일반 소비자들과 기업인들 간의 경제에 대한 인식이 크게 엇갈리고 있다.
일반 국민들은 물가 인상 가능성 때문에 소비심리가 위축돼 있는 반면 기업인들은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에 크게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주 발표된 소비심리 지수와 기업인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일반 국민과 기업인 간의 경제 인식이 극명하게 대조된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미시간대가 조사한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들어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 6월 이후 인플레이션 완화 추세에 점차 상승세를 보이던 것이 내림세로 돌아섰다. 특히 2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64.7로, 전월 대비 7포인트나 떨어졌다.
2월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4.3%로 전월의 3.3% 대비 1.0%포인트 급등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US스틸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반면에 미국 기업인들의 인식은 많이 다르다.
콘퍼런스보드의 스테파니 기차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기에 기업인들의 자신감은 높아지는 독특한 상황"이라면서 "지난해 주요 불확실성 요소였던 대선이 끝났고, 새 행정부가 매우 기업친화적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것이 기업인들이 낙관하는 배경"이라고 말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브라이언 모이니한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기업들은 이제 국내는 물론 전 세계로 나아가 원래 차지하던 일인자 자리를 되찾을 수 있게 됐다"면서 "우리 팀의 미래에 대한 열정은 전 정권 때인 지난해 4분기보다 훨씬 크다"고 말했다.
기차드 이코노미스트는 "두 조사를 보면 기업과 소비자가 전혀 다른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면서 "기업은 규제 완화와 잠재적인 세금 감면에 관심이 있는 반면 소비자에게는 물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무디스의 마크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설문조사 결과는 정치적 관점에 의해 편향될 수 있어 의심해봐야 한다"면서 "사람들의 심리는 매우 변덕스럽고 일시적이다. 불법 이민자 추방이나 관세로 성장이 둔화하고 물가가 오르면 이런 자신감이 지속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월마트 |
satw@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