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AI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조형근 CSO가 주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모레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공지능(AI) 인프라 솔루션 기업 모레가 지난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AI 글로벌 컨퍼런스’에 참가해 ‘한국의 딥시크,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개발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혁신의 주도권을 잡아라'를 주제로 AI 컴퓨팅 인프라와 이를 기반으로 한 AI 모델 등에 대한 최신 동향과 미래 전망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엔비디아코리아, AMD코리아, 오픈AI 등 해외 빅테크 기업들이 참여해 기조강연을 진행했고, 과기정통부는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AI 반도체, AI 데이터센터, AI 모델 및 서비스 3가지 파트로 나뉘어 진행된 본행사 2부에는 국내 대표 AI 기업들이 총출동했다.
AI 모델 및 서비스 파트에서 주제 발표를 진행한 조형근 모레 CSO(최고전략책임자)는 “딥시크로 인해 촉발된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AI 인프라 소프트웨어(SW)다. 초거대 AI 개발을 위한 수천 개의 GPU를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만드는 것이 바로 SW이기 때문”이라며 AI 산업에서 인프라 SW의 역할이 본질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설립 초기부터 엔비디아 쿠다(CUDA)의 대안이 될 수 있는 AI 인프라 SW를 개발해온 모레야말로 한국의 딥시크를 만들기에 가장 최적화된 솔루션을 확보한 기업”이라며 “모레의 솔루션은 엔비디아, AMD 등 다양한 GPU, NPU 자원과의 호환성이 완벽하고 독창적인 GPU 가상화 기법을 제공해 AI 사업자에게 비용,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보다 폭넓은 대안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모레는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든 최초의 슈퍼컴퓨터 ‘천둥’ 개발 등 국내에서 슈퍼컴퓨팅 분야를 가장 오래 연구한 서울대 매니코어프로그래밍연구단 출신들이 주축이 돼 2020년 9월 창업한 회사다. AI 인프라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기업용 AI 클라우드 솔루션을 개발하는 모레는 완전히 자동화된 컴파일러 기술을 통해 대형 AI 모델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병렬화/최적화 기법들을 자동으로 구현해줘 AI 모델 개발의 장벽을 낮췄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