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축은행중앙회가 자산 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NPL) 전문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다. 업계에서는 이를 환영하면서도 자금 출자 등 산적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30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상반기 내로 NPL 회사 설립을 추진한다. 금융당국과 협의해 저축은행중앙회 산하에 NPL사를 만들어 업계의 과제인 부실채권을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고금리·고물가 시대가 장기화하면서 저축은행업권에선 3개월 이상 연체된 NPL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연체율이 10%를 넘긴 곳은 36곳이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무비율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0%를 웃도는 곳도 63개나 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전체 저축은행에서 고정이하로 분류된 여신은 10조8518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9291억원)보다 큰 폭으로 늘었다. 주 고객층이 중·저신용자인 저축은행의 특성상 경기 침체의 여파를 피해가지 못했다.
금융당국이 건전성을 주문에 따라 저축은행중앙회도 자산 건전성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도 신년사에서 경·공매 지원, 공동매각 지원, 부실채권(NPL) 전문회사 설립 등을 발표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NPL사 설립에 필요한 최소 자본금인 5억원으로 시작해 올해 안으로 1000억원까지 불리는 것이 목표다. 자본금이 1000억원으로 확대되면 NPL사가 매입할 수 있는 NPL 규모는 1조원까지 늘어난다.
불황이 이어지면서 대형 저축은행이라도 자본 출자에 부담스럽다는 목소리도 있다. 또한, 4개 대형 저축은행(SBI·OK·웰컴·한국투자)과 은행계 저축은행 중 NPL 자회사나 계열사를 보유하지 않은 곳은 SBI저축은행이 유일하다. 더군다나 SBI저축은행은 NPL 비율이 6.34에 그치는 등 부실채권도 적극적으로 매각해 건전성을 개선했다. 주요 저축은행들에서 NPL사 수요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NPL사 설립에 적극적이지 않은 분위기도 관측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NPL사가 없는 상황에서 새로 설립하고 자금 출자를 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스러워 하는 분위기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NPL사가 운용한 수익을 어떻게 배분하느냐에 따라서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면서 “저축은행들의 부실채권 문제가 있기 때문에 NPL사 설립의 필요성은 공감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NPL사 설립을 내세운 오 회장의 연임 여부도 관심이다. 저축은행중앙회 내규에 따르면 중앙회는 회장의 임기 종료 14일 이전에 회장후보추천위원회와 선거관리 위원회를 구성하고 차기 회장 선출 공고를 내야 한다. 오 회장은 임기는 다음 달 16일 만료되기 때문에 후보 모집 공고를 내야 하지만 아직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임기 만료까지 차기 회장이 선출되지 못하면 차기 수장이 선출될 때까지는 오 회장이 중앙회장 직을 유지하게 된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