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블루오리진, 첫 대형발사체 '뉴 글렌' 발사 성공
추진체 회수는 실패
"한 달 1회 발사 서비스, 1년 내 론칭"
블루오리진이 첫 대형 발사체 '뉴글렌'을 16일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사진=블루오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가 이끄는 미국 우주 기업 '블루 오리진(Blue Origin)'이 첫 대형 발사체 '뉴 글렌'을 궤도에 올렸다.
블루 오리진은 16일 오전 2시 3분(현지 시각)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뉴 글렌(New Glen)' 발사체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 시각으로는 오후 4시 3분이다.
뉴 글렌은 높이 98m, 지름 7m에 이르는 대형 로켓이다. 스페이스X의 주력 발사체인 '팰컨 9' 높이의 약 7배다. 미국 최초로 우주 궤도를 돈 우주비행사 존 글렌의 이름을 땄다. 블루 오리진이 기획한 첫 대형 로켓으로 2012년부터 설계를 시작했지만, 발사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상단부는 발사 약 14분 후 목표 궤도에 진입, 탑재체인 화물 수송용 우주선 '블루링'의 프로토타입 우주선 '블루링패스파인더'를 궤도에 올려놓는 데 성공했다.
궤도에 오른 '블루링 패스파인더'는 본격 활동을 시작한다. 미국 국방부의 지원으로 블루 오리진이 개발하는 화물 수송용 우주선이다. 지상 2000㎞ 높이의 지구 저궤도(LEO)와 정지궤도(GEO)에서 연료 저장소, 위성 등의 탑재체를 전달할 '우주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 블루링 패스파인더를 통해 블루 링의 비행 및 지상 시스템 운영 성능을 우선 시험한다는 설명이다. 블루링 패스파인더는 6시간가량 궤도 탐색을 위해 운행할 예정이다.
한편 뉴 글렌은 기상 악화, 기술적 결함 등을 원인으로 여러 차례 미뤄진 뒤 16일 발사에 최종 성공했다. 당초 12일 발사할 예정이었지만, 추진체 재착륙지의 기상 변화로 인해 일정을 미뤘다. 이어 14일에는 예정 시간에서 5차례 지연된 후 발사체 하위 시스템 문제를 이유로 최종 취소했다.
첫 발사에 성공한 블루 오리진은 한 달 1회꼴로 뉴 글렌을 발사할 수 있도록 1년 내로 수송 서비스를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