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4가구 중 1가구 가계부 ‘적자’…자영업자 소득 1.7% 뒷걸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3분기 가계동향



전체 가계 주머니 사정이 다소 나아졌다. 하지만 소득 수준별 온도 차가 심하다. 특히 자영업자와 저소득층이 내수(국내 소비) 부진의 충격파를 고스란히 받았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25%에서 3.00%로 0.25%포인트 내린 배경과도 맞닿아 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5만2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4.4% 늘었다. 항목별로 근로소득(332만900원)이 취업자 증가와 임금 상승의 영향으로 3.3%, 이전소득(78만4000원)이 국민·기초연금 수급액, 부모급여 인상 등에 따라 7.7% 늘며 소득 증가세를 견인했다.

물가 상승률까지 반영해 실제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실질소득도 1년 전보다 2.3% 늘었다. 실질소득은 올해 1분기 1.6% 줄었다가 2분기(0.8%) 반등한 뒤 2분기 연속 증가세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연초까지 고물가로 1분기 실질소득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최근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며 플러스(+) 추세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소득보다 씀씀이 증가 폭이 작아진 덕분이다. 3분기 지출은 397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2.7% 늘었다. 8분기 연속 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넘어서다 이번에 처음 뒤집혔다. 소득이 늘어난 만큼 주머니를 열지 않았다는 의미다. 다만 월세와 공공요금이 오른 영향을 받아 주거·수도·광열(12.6%) 지출이 많이 증가했다. 세금과 국민연금 같은 사회보험료, 이자비용 등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비(非)소비지출’은 106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0.5% 증가했다.

통계 곳곳에서 자영업자와 저소득층이 내수 침체 영향을 받은 흔적이 드러났다. 우선 ‘적자 가구’ 비율은 23.7%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4분의 1 가까이가 적자 상태란 의미다. 1년 전보다 0.9%포인트 줄었다. 적자 가구란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보다 소비 지출이 많은 가구를 말한다. 하지만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는 적자 가구 비율이 7.1%인데 비해,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는 54.8%에 달했다.

사업소득도 3분기에 0.5% 늘었지만, 실질 사업소득은 1.7% 줄었다. 2분기(-1.3%)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자영업자가 사업을 통해 실제로 손에 쥐는 소득이 뒷걸음쳤다는 의미다.

소득 수준별 온도 차도 감지됐다. 1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18만2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5.4% 늘었다. 기초생활보장 강화 등으로 이전소득(10.4%)이 늘어난 영향이다. 그런데 근로·사업소득은 각각 3.4%, 8.6% 감소했다. 정부가 쥐여주는 돈 말고는 벌이가 줄었다는 얘기다. 반면 5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154만3000원으로 같은 기간 6.5% 늘었다.

빈부 격차 수준을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69배로 지난해 2분기(5.55배) 대비 소폭 올랐다. 5분위 배율이 늘어나면 1분위와 5분위 격차가 커졌다는 의미다. 5분위 배율이 2분기 연속 악화한 건 2022년 2~3분기 이후 처음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내수를 살리려고) 기준금리까지 내린 만큼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강조한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라도 자영업자·저소득층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