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1 (목)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중국 BYD 전기세단, 내년 한국 상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승용차 브랜드 출시 검토 완료”

씰·아토3 유력, 환경부 인증 진행중

가성비 앞세워 국내시장 경쟁 예고

헤럴드경제

BYD의 중형 세단 ‘씰’ [BYD 유럽 홈페이지]


헤럴드경제

BYD의 소형 전기 SUV ‘아토3’ [BYD 유럽 홈페이지]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사인 중국 BYD가 국내 시장에 승용차 브랜드 출시를 위한 검토를 완료하고 승용차 브랜드의 국내 출시를 공식화한다고 13일 밝혔다.

BYD의 중형 세단 ‘씰’과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토3’의 내년 한국 시장 상륙이 유력한 가운데 국내 완성차 업계도 ‘내수 시장 사수’에 비상이 걸렸다는 분석이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BYD의 누적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1.2% 늘어난 261만5000대로, 글로벌 전기차 브랜드 가운데 1위를 지켰다. 시장 점유율은 22.3%다. 이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와 순수전기차(BEV)를 합한 수치다. 2위는 미국의 테슬라(점유율 11%)가 차지했다.

BYD의 올해 3분기까지 연간 누적 순수 전기차 판매대수는 44만3000대로, 테슬라(46만2000대)보다 약 2만대가 적다. 순수 전기차만 만드는 테슬라와 달리, BYD는 PHEV까지 생산하는 점이 강점이다. 올해 3분기까지 BYD의 PHEV 판매량은 68만5000대로 집계됐다.

BYD는 중국을 대표하는 테크 기업으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에서 자동차·경전철·재생에너지·전자 등 4개 분야를 주력 사업으로 전개하고 있다. 2016년 한국 시장에서 BYD코리아를 설립하고, 그동안 국내에서 전기지게차·전기버스·전기트럭 등 상용차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BYD코리아는 지난 수개월간 승용차 브랜드에 대한 국내 사업성에 대한 검토를 다각도로 진행해 왔다. 현재 초기 승용차 판매 및 서비스를 위한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과 함께, 인력 채용·차량 인증·마케팅 계획·직원 교육 등 2025년 초를 목표로 BYD 브랜드의 국내 공식 출범을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사업부문 대표는 “국내 소비자의 높은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 다양한 경험을 갖춘 임직원들 및 파트너사와 심도 있는 검토를 진행해 왔다”며 “글로벌 성공 경험과 함께 뛰어난 기술력으로 한국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브랜드가 되기 위해 착실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출시 일정 등 그 외 승용차 사업에 대한 상세 내용은 추후 상황이 정리되는 대로 안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BYD는 씰, 아토3와 함꼐 소형 해치백 ‘돌핀’까지 3종의 승용차를 먼저 판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씰과 아토3의 경우 지난 8월 산업통상자원부 인증을 거친 데 이어 현재 환경부 인증 절차를 밟고 있다. 인증 절차가 끝나면 보조금과 국내 판매 가격 등이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돌핀은 현재 정부 인증 절차에 들어가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BYD의 국내 진출이 임박하면서 완성차 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오랜 지원으로 전기차 기술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 BYD가 저가 공세에 나설 경우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가 국내에서 판매 중인 전기차는 캐스퍼EV와 코나EV, 아이오닉5, 아이오닉6 등이다. 기아는 EV3와 EV6, EV9, 니로EV 등의 전기차 SUV를 팔고 있다. 업계에서는 BYD의 국내 판매가 시작되면 차급이 겹치는 코나EV와 EV3(소형 SUV), 아이오닉6(중형 세단) 등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침체기) 여파와 최근 아파트 주차장 화재 사고로 인한 전기차 소비 심리 위축 등은 변수로 꼽힌다. 완성차 시장분석업체인 카이즈유에 따르면 올 들어 3분기까지 국내 전기차 누적 판매대수는 10만8430대로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하는 등 성장세 둔화가 나타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BYD 차량은 국내 동급 모델에 비해 크게는 1000만원 이상 저렴한 가격에 판매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현대차·기아 입장에서는 가성비를 앞세운 BYD와의 경쟁을 위해 다양한 추가 대책을 고려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양대근·김성우 기자

bigroot@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