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3 (금)

"의정갈등 이후 응급실 환자 60%↓··· 권역센터 기피현상 심화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성우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의협 종합학술대회서 발표해

"응급실, 고령화로 과밀화 심화

응급의료 30년전 회귀 우려돼"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정갈등 장기화 속 응급실 이용 환자가 예년에 비해 약 60% 감소했다는 지적이 응급실 현장 응급의학과 교수로부터 제기됐다. 응급실에 의사가 줄어든 게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이성우 고려대 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10일 대한의사협회 제41차 온라인 종합학술대회에서 강연자로 나서 “올 2월부터 응급실 환자 수가 평년 대비 60% 줄었다”고 말했다. 그는 ‘응급의료 전달체계: 문제와 해법’이라는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이번 달에 평년의 50% 수준으로 조금 회복했지만, 여전히 나머지 절반의 환자는 어딘가에 (방치돼)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2월은 의정갈등이 시작된 시기로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이 무렵 집단 사직했다.

이 교수는 고령화로 응급실 과밀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각 응급의료기관에서 7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응급실로 들어온 고령 환자들은 입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응급실 체류시간을 통해 과밀화 실상을 전했다. 75세 이상 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은 평균 4.5시간으로 75세 미만 환자의 평균 체류시간인 2.4시간의 2배에 육박한다.

그는 “권역응급의료센터 이용자의 절반이 한국형중증도분류체계(KTAS) 4, 5에 해당하는 경증 환자”라고도 지적했다. 응급실 문제를 해소하려면 전원체계를 활용해 환자가 자신의 중증도 수준에 맞는 응급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이 교수는 말했다.

이 교수는 앞으로 응급실 상황은 전문의들이 근무 강도가 높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기피하는 현상 때문에 더 악화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에 근무하는 응급실 전담 전문의는 2022년 440.4명에서 2023년 444.8명으로 0.9% 늘어났다. 같은 기간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실 전담 전문의는 937.1명에서 1025명으로 9.38% 늘었다. 그는 “응급의료에서도 권역센터보다 상대적으로 덜 힘든 지역센터로 전문의들이 쏠린다”고 해석했다.

이 교수는 “의정갈등으로 필수 의료에 종사하는 수련의가 96% 이상 빠진 상황에서 앞으로 이런 현상이 더욱 가중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응급의학과 의사와 응급환자 최종 치료에 관련된 필수 진료과가 갑자기 붕괴하면서 응급의학과가 30년 전으로 회귀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violator@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