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3 (금)

"중국 싫어!" 트럼프에 K-중기 새우등 터진다…공급망 '난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국우선주의' 트럼프, 관세 폭탄 예고에 불확실성 증폭

대중 수출도 불투명…중소기업 공급망 다변화 시급

뉴스1

6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 팜 비치의 팜 비치 카운티 컨벤션 센터에서 공화당 대선 후보이자 전 미국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가 지지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형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산업계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대기업들에 비해 거시경제(매크로) 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중소기업들이 적지 않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의 적대적인 대(對) 중국 기조로 한국 중소기업 양대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 사업에서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관세, 통상 압박 등으로 수출 및 공급망 다변화가 불가피하지만 중소기업들은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8일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 당선인이 미 대선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업계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통상 기조는 보호무역주의다.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높이고 자국 기업에 혜택이 돌아가도록 한다는 게 트럼프 당선인의 기본적인 입장이다.

김현성 상상인증권 경제 분야 연구원은 "트럼프는 무역 적자, 제조업 위축, 일자리 유출이라는 악순환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관세 확대, 무역협정 재검토, 대중국 견제 강화 등을 공약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트럼프는 스스로를 '관세맨'(Tariff Man)이라고 칭하며 교역국들에 관세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미국 제조업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는 최소 60%의 관세를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선뿐만 아니라 상원의원과 하원의원 선거에서도 공화당이 승리를 거두면서 트럼프 당선인의 향후 정책 기조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1위 수출국이 미국이라는 점이다. 3분기 기준 국내 중소기업의 미국 수출액은 45억 5000만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는 444억 달러 흑자로 역대 최대 흑자를 달성하며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국가 8위에 올랐다. 주요 적자국인 한국과 FTA 재협상을 요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세를 높이고 미국산 제품을 우대하는 기조가 이어지면 이러한 중소기업의 수출 호조도 꺾일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법무법인 태평양은 '트럼프 당선과 우리 기업에 대한 영향'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적 관세와 미국 제품 우대 조치는 우리 기업의 제품 가격을 상승시켜 미국산 제품과의 경쟁을 어렵게 할 수 있다"며 "이는 수출주도형 경제를 가진 한국에 큰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뉴스1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 트럼프 당선인의 '중국과의 결별' 기조는 한국 중소기업에 이중고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1기 행정부 때와 마찬가지로 동맹국들을 대상으로 중국 제품 사용이나 수출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줄곧 한국 중소기업 수출액 1위를 차지하던 중국은 지난 3분기 수출액 43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2위 자리로 내려왔다. 그럼에도 미국과의 차이는 2억 달러가 채 되지 않는다.

중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 제품과 경쟁하는 한국 제품이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지만 한국 기업들의 공급망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이 문제로 거론된다.

태평양 측은 "한국 기업의 공급망은 중국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고 전자제품, 자동차, 배터리 등에 중국산 물품을 사용하거나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상당하므로 고율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공급망을 재조정할 필요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1년 요소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중국이 요소 수출을 통제하면서 발생한 '요소수 대란'을 한 차례 겪은 바 있다. 이후 정부는 공급망안정화위원회를 설치했고 대기업들은 산업 전반의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해 왔지만 중소기업은 이러한 대처에 여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오동윤 동아대 경제학과 교수(전 중소벤처기업연구원장)는 "미중 (경제) 간의 고관세 전쟁이 붙으면 양국의 의존도가 워낙 높은 한국 중소기업 입장에선 걱정을 할 수밖에 없다"며 "업계에서 대응할 수 없는 부분인 만큼 정부 차원의 외교력으로 커버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미국이 원하고 관심을 갖는 부분은 이차전지 등 중소기업의 참여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산업들"이라며 "트럼프 당선을 계기로 더욱 근본적으로 산업 정책에 중소기업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접근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j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