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잘 싸기’를 바란다. 하지만 누구나 그 행복을 누리진 못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변비 환자 수는 63만 명을 넘어섰다. 10년 새 6만 명이 늘었다. 나이가 들수록 변비를 앓으면 더 힘들다. 70대 이상 노년층의 33%가 ‘노인성 변비’를 경험했다. 유병률은 20대의 10배다.
지난달 인터뷰를 위해 만난 한윤대 연세대 세브란스 대장항문외과 교수는 “화장실에 자주 가더라도 (변을 누는 게) 안 싸는 것보다는 ‘100배’ 낫다”며 “자연적으로 배출될 때까지 변비를 참고 견뎌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변비약을 먹거나 관장을 해서라도 숙변을 배출하는 게 낫다는 의미일까. 변비가 길어지는 건 혹시 대장암의 전조는 아닐까. 변비에 도움이 되는 음식은 어떤 게 있을까. 변비처럼 설사의 경우도 지사제 등 약을 먹고 증상을 없애는 게 최선일까.
그래픽 이경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잘 싸는 것’만큼 중요한 게 ‘잘 닦기’다. 한 교수는 “깨끗하게 닦는 일에만 집착하는 건 금물”이라며 “치질이 있을 경우 특히 더 그렇다”고 말했다. 수많은 이의 항문 건강을 지켜온 그가 말한 ‘닦는 법’의 핵심은 뭘까. 변을 볼 때 물티슈와 비데를 쓰는 경우도 많다. 특히 비데는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데, 건강에 괜찮을까. 요령 있게 쓰는 법은 뭘까. 이 밖에 한 교수는 “쾌변을 위한 최고의 자세가 따로 있다”며 ‘변기와의 승부’에서 승리할 비법을 전하기도 했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수년에 한 번,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괴로운 숙제 중 하나다. 검사 주기는 ‘5년에 한 번’이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검사 주기가 너무 길다’며 불안해하는 이도 많다. 또 반대로 “10~15년에 한 번이면 족하다”는 연구 결과나 언론 보도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적절한 대장내시경 검사 주기는 몇 년일까. 한 교수는 “상황에 따라 2~3년에 한 번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도 했다. 어떤 경우일까. 내시경 검사 결과 용종이 발견돼 암 진단을 받는 경우도 있다. 어떤 특성을 가진 용종이 암으로 발전할까. 한 교수는 “용종이 없었던 환자가 대장암 진단을 받는 경우가 있다”고도 했다.
■ 목차
1. 나올 때까지 견뎌라? 변비에 도움되는 음식 다섯 가지
2. 관장 다이어트? 관장 자주 하면 위험한 진짜 이유
3. “치질엔 닦기 집착 말라” 물티슈와 비데, 올바른 사용법은
4. “닦는 방향 중요” 쾌변을 위한 최고의 자세는
5. 대장내시경 꼭 5년에 한 번? “2~3년에 한 번 필요한 경우는…”
6. 용종 없었는데 대장암 생기는 두 가지 이유
■ 대장·항문 건강의 모든 것
상편: 앞에서 뒤로? 뒤에서 앞으로? 항문 닦는 법 반전 있었다 〈上〉
하편: “내가 쌌지만 정말 심하네” 지독한 그 냄새, 암 신호였다 〈下〉
━
나올 때까지 견뎌라? 변비에 도움 되는 음식 다섯 가지
Q : 잘 싸는 게 중요하다. 많이 싸도 괜찮나.
가끔 환자 분 중에 “많이 싸도 괜찮나요? 설사는 아닌데,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서 걱정”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땐 “안 싸는 것보다 100배 낫다”고 말씀드린다. 횟수가 잦더라도 자주 변을 보는 게 변비보다 낫다.
Q : 적당한 빈도와 양은.
(배변 횟수는) 하루 한 번은 괜찮다. 2~3일에 한 번도 괜찮다. 다만 4~5일을 넘어가면 문제다. 상황에 따라 양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300~500g 사이가 좋다. 4~5덩어리 정도 나와야 한다. 대변 모양이 ‘바나나’처럼 길면 좋지만, 그것의 절반 이상은 끊기지 않고 나와야 질 좋은 변이다.
Q : 대변도 규격화돼 있던데.
대변 형태를 주관적으로 말할 수 없는데, 연구와 진료 과정에선 객관화된 기준이 필요해 만들어졌다. 타입 1~7까지 나열돼 있다. 타입 3~4 정도가 정상적인 대변 형태에 속한다.
그래픽 이경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 변비의 경우 자연적으로 배출될 때까지 기다리는 게 낫나.
변을 제대로 못 보면 장이 터지는 경우가 있다. 응급수술을 해야 한다. 배 안이 지저분해지면 장을 연결할 수가 없다. 그럴 땐 배로 변을 봐야 할 수도 있다. 그래서 변비는 ‘자연적으로 나올 때까지’ 참고 견디면 안 된다. 어떻게든 배출해야 한다.
Q : 변비에 좋은 음식은.
대장은 체내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대변이 장 내에 오래 머물수록 변이 ‘미라’처럼 딱딱해진다. 적당한 수분이 있어야 부드러운 변이 밀려 나온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이 대변량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채소, 과일이 대표적이다. 말린 자두로 만든 푸룬 주스나 차전자피도 도움이 된다. 키위나 익은 바나나, 고구마도 섭취하면 좋다.
그래픽 최수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관장 다이어트? 관장 자주 하면 위험한 진짜 이유
Q : 설사의 경우 지사제를 먹으면 좋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다.
설사가 물처럼 나올 때가 있다. 그러면 수분이 빠져서 탈수가 온다. 그럴 때 지사제를 복용하는데, 가급적 설사가 마무리되는 시기에 복용하는 게 좋다. 설사 초기엔 독소가 장 안에 남는 경우가 있다. 일단 독소를 내보내야 한다. 초기 설사는 그래서 막을 필요가 없다. 몇 차례 지켜보고 복용하는 게 좋다.
Q : 장을 비우기 위해 일부러 관장하는 경우도 있다.
좋지 않다. 항문 위가 바로 직장이다. 관장을 통해 일시적으로 장의 볼륨을 키워 딱딱한 변을 확 밀려 나가게 하는데, 관장을 자주 하면 장의 볼륨이 늘어나는 버릇이 생긴다. 그러면 늘어난 장 크기만큼 대변이 쌓일 때까지 배변이 어려워진다. 그래서 반복적인 관장은 좋지 않다. 필요한 경우에만 하는 게 좋다.
Q : 약을 먹고 비워내는 건 괜찮나.
좋지 않다. 장을 비우면 장내 미생물도 다 빠져나간다. 새로운 환경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 가끔 살을 뺀다고 관장하는 분들도 있는데, 수분만 빠져나간다. 이후에 식사하면 똑같아진다.
━
“치질엔 닦기 집착 말라”… 물티슈와 비데, 올바른 사용법은
Q : 항문 모양도 사람에 따라 많이 다른가.
항문 주름이 많거나, 덜한 경우도 있다. 엉덩이골 깊이도 다르다. 골이 깊으면 닦기 힘들다. 엉덩이골 깊이는 비만과도 조금 관련이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 유독 닦는 것에 집착하는 경우도 있다.
절대 그러지 말라고 항상 말씀드린다. 항문 밖은 바로 살이다. 입술과 같다. 음식이 묻었다고 입술을 열 번씩 닦지 않는다. 계속 닦으면 마찰을 일으킨다. 자극을 주고 상처가 나거나 살이 튼다. 항문에 대변이 안 묻어날 때까지 닦는 분들도 있는데, 아무리 닦아도 30분쯤 지나서 방귀 한번 끼면 위쪽에 지저분한 게 밀려 나와 속옷에 묻을 수 있다. 그렇게 닦으면 항문 주변에 상처를 내고 자칫하면 점막도 다쳐 출혈이 생긴다. 최악의 경우 염증이 생겨 붓는다.
Q : 치질 등 항문 청결에 신경써야 하는 경우도 있지 않나.
아니다. 오히려 과하게 닦다간 튀어나온 치핵 등이 찢어져 다친다. 피가 나고 노출된 곳에 균이나 오염물질이 들어가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차라리 살살 닦는 게 안전하다. 흐르는 물로 가볍게 닦으면 좋지만, 직장에 다니거나 일상에선 쉽지 않을 수 있다.
Q : 그래서 물티슈가 꼭 필요한 사람도 있다.
물티슈는 대안으로 쓸 수 있지만, 깨끗하게 닦고 싶다는 욕심에 더 많이 쓰는데, 오히려 좋지 않다. 항문 주변 피부가 젖게 되고 상처가 생기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물티슈를 쓰는 건 좋지만, 여러 번 반복해서 닦는 건 좋다고 말하기 어렵다.
Q : 비데도 많이 쓴다. 문제없나.
비데를 쓰더라도 가급적이면 따듯한 물, 약한 수압, 분무형으로 쓰는 게 좋다. 수압이 세면 괄약근을 물리적으로 건드릴 수밖에 없다. 장기적으로 좋다고 보기 어렵다고 본다. 또 이걸 쏘다 보면 재미를 느끼고 변기에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데, 자극이 반복되는 건 좋지 않다. 그 외엔 사용해도 괜찮다.
(계속)
“닦는 방향도 중요하다” 항문을 닦는 법엔 반전이 있었다. 한윤대 교수는 “제대로 안 닦으면 30번쯤 닦는다. 그러면 화가 나 더 닦게 된다”며 제대로 된 방법을 알려줬다. 또 쾌변을 위한 자세도 따로 있었다.
항문 건강을 지키는 꿀팁이 가득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통해 구독해보세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8539
〈VOICE:세상을 말하다 추천기사〉
“내가 쌌지만 정말 심하네” 지독한 그 냄새, 암 신호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0295
“탄단지 갖춰봤자 죽은 음식” 해독 전문가 찍은 염증 주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6843
정보원과 ‘깊은 연애’를 했다…20년 국정원 요원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9360
발기부전 겁내면 당신 손해다, 의사도 먹는 ‘2만원 탈모약’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7757
“돈 빌리려면 오후에 가라” 대출의 신이 픽한 은행 2곳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1842
백수도 ‘4억 주담대’ 된다, 신용카드 이렇게 긁어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3324
“세무서, 죽을 때까지 본다”…자식 1억 빌려줄 때 남길 증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1213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