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역시나 외국 업체들이 장사하기 좋은 시장인 것 같습니다."
최근 중소 게임업체 한 관계자는 인터뷰 중 이같이 말했다. 조금은 생뚱한 그의 말에 잠시 머뭇거리다 비로소 이해하게 됐다. 그의 지적은 이랬다.
중국의 한 게임업체 대표가 자사 게임을 통해 한복에 대해 한푸라고 주장하고, 갓을 중국의 유산 가운데 하나라며 우기면서 유저들 사이에 논란을 빚어 한국 시장을 떠났는데, 어느날 슬그머니 다시 한국에 들어와 영업을 시작하고 있더라는 것이다.
실제로 논란을 일으킨 이 업체는 자회사를 만들어 한국에서 게임 서비스를 하고 있고, 또 이름조차 바꾸지 않고 오프라인 행사를 준비하는 등 마치 뭐가 문제될 게 있느냐는 식의 후안무치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
지금은 조금 가라 앉아있는 형국이지만 그 중국 업체서 엉뚱한 동북공정 논란을 일으킨 때는 상당히 한 중 양국 국민들이 예민하게 반응한 시기이고, 특히 우리 국민들의 반중 분위기는 그야말로 국민적 공분으로 이어질 즈음이었다.
이후 이 중국 업체는 아무런 사과 한마디 없이 한국을 떠나 중국으로 들어갔다. 그리곤 동북공정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자 다시 한국시장에 들어왔다.
여기서 조금 안타까운 점은 이러한 후안무치한 행태의 영업을 영위한 외국 업체에 대해 정부와 민간에ㅓ 제동을 걸 수 있는 장치가 아무 것도 없다는 사실이다.
동북공정 논란을 일으킨 업체들을 모두 싸잡아, 이들이 한국에서 사업을 못하도록 막자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논란의 중심이 된, 책임을 져야 할 위치에 있는 외국업체에 대해서는 일정한 제재 조치가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견이다. 그래야만 향후 이같은 논란을 잠재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물론 중국 유저의 성화에 떠밀려 동북공정 논란을 일으킨 해당업체의 사정을 모르는 바가 아니다. 어느 정도 이해는 한다.
하지만 게임을 두고 국가적 이념 문제를 제기하거나, 정치적 도구로 흐르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동북공정 논란같은 엉뚱한 이념 문제를 제기한 업체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더 이상 사업을 할 수 없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특히 정부가 어렵다고 한다면, 민간에서 책임지고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게임스데일리 강인석 기자 kang12@tgdaily.co.kr]
<저작권자 Copyright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