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3 (금)

“퇴직금 필요없고 퇴사할래요”···10명 중 6명 1년 내 짐 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 DB 분석

1년 고용 유지율 10년간 40% 안팎

코로나19 팬데믹 충격에 격차 확대

“유지율 낮은 집단 위한 정책 필요해”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규 취업한 임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1년 내에 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남은 4명만이 취업 1년 후에도 같은 직장에 다니고 있는 것이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새롭게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21년 기준 40.1%였다. 보고서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에서 신규 취업한 일자리의 유지된 비율을 분석한 자료다.

이 같은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다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다시 올랐으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39.6%, 2021년 40.1% 수준으로 낮아졌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엔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근속기간만 보면 고용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거나 오히려 소폭 후퇴했다.

이는 신규 취업자 수가 줄어들며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 비중이 작아져 평균 근속기간은 늘어났지만,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1년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42.4%, 여성이 37.9%로, 여성이 더 낮았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상대적으로 높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았다.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유지율도 낮아졌다.

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낮아지던 시기엔 여성의 고용 유지율 감소 폭이 남성보다 크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10년 사이 성별, 연령별, 학력별 격차가 벌어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장 연구원은 “고용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아울러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문예빈 기자 muu@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