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8 (일)

이슈 취업과 일자리

취업자 10명 중 6명은 1년 못 채우고 짐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비즈

고용보험 취득 일자리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2012~2021년) 고용보험 DB 원자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규 취업한 임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취업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직장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새로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21년 기준 40.1%에 달했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2012년부터 가장 최신 자료인 2022년까지의 고용보험 자료를 분석해 각 연도에 새롭게 취업한 일자리가 이듬해까지 유지된 비율을 분석했다.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5년 새 0.1%포인트 하락했다가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다시 올라섰다. 하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39.6%, 2021년 40.1%까지 낮아졌다.

2021년 새로 취업한 근로자 10명 중 4명만 1년 후에도 같은 직장을 다녔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엔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이 수치만 보면 고용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고용 유지율을 보면 10년간 제자리거나 오히려 소폭 하락했다. 신규 취업자 수 자체가 줄어들면서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져 평균 근속기간이 늘어났다. 반면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고용 유지율이 낮았다. 2021년 기준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살펴보면 남성이 42.4%, 여성이 37.9%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높았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장 연구원은 “고용보험을 취득한 임금근로자의 1년 고용유지율에는 증가 추세가 나타나지 않아 새롭게 취업한 근로자의 고용 안정성이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며 “전체 근로자의 근속 기간은 길어졌으나 신규 취업자의 다수를 차지하는 청년까지 고려하면 근속 기간이 길어지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이어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 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으로 여겨진다”고 덧붙였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