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2 (목)

[기자수첩] 정유업계의 SAF 사업 진출, 정부의 뒷받침 이어져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정유업계가 친환경 바이오항공유(SAF) 사업에 적극 진출에 나섰으나 해결해야 할 숙제도 산적해 있다. 정유사들이 SAF 사업에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하고 있음에도 정부 지원은 세계 주요국들과 비교해 여전히 부족하다는 아쉬움이 깊다.

SAF는 석유, 석탄 등 기존의 화석 자원이 아닌 동물성·식물성기름 등 친환경 원료로 만든 항공유다. 특히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산업 전반에서 탄소 배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SAF는 정유업계의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정유사들은 SAF 생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HD현대오일뱅크는 국내 최초로 SAF 수출에 성공했다. 기존 정유 설비에 석유 기반 원료와 동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함께 투입하는 '코프로세싱'방식을 활용해 SAF를 생산할 계획이다.

에쓰오일은 지난 4월 국내 정유사 최초로 국제항공 분야에서 SAF 생산을 공식 인증하는 ISCC코르시아(탄소 상쇄 및 감축제도)인증을 획득했다. SK이노베이션은 2026년 상업생산을 목표로 울산CLX에 바이오항공유 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다. GS칼텍스는 지난해 6월 대한항공과 SAF 관련 협약을 체결한 후 시범 운항 사업을 해오고 있다.

다만 정유업계는 국내 SAF 시장 활성화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우려한하고 있다. 현재 정부의 지원 수준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탈탄소가 세계적인 과제로 떠오르면서 SAF 급유 가능 공항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일본은 나리타, 하네다 공항에서 SAF 공급이 가능하다. 중국 또한 닝보, 톈진 공항에서 SAF를 공급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국내는 SAF를 공급할 수 있는 공항이 전무하다.

프랑스는 이미 의무급유를 시행 중이고 다른 국가들도 점차 혼합 의무 적용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국내는 급유 가능한 공항조차 없는 현실을 고려하면, 글로벌 기준에 한참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해외에서 급유하는 방법이 있긴 하나 비싼 비용 탓에 쉽지 않다.

세제 지원과 인센티브 등 혜택을 확대하고 정부와 기업이 함께 연구를 활발히 진행한다면 국내 업계도 SAF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