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추석 앞두고 이게 무슨 일이래요? 과일이랑 채소, 떡, 사야할 것들은 많은데 지갑을 열 엄두가 안나네요. 그나마 지금 고기는 선물세트가 들어와서 다행이지, 물가가 올라도 너무 올랐어요."
추석 연휴를 앞두고 11일 방문한 부천 자유시장은 장을 보러 나온 주부들로 북적거렸다. 장바구니와 수레를 끌고 다니며 추석 먹거리를 구매하는 고객들로 시장은 활기를 띠고 있었다. 하지만, 오를대로 오른 채소 가격에 장바구니는 채워지지 않은 모습이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채소가게에 붙여진 가격표에는 배추 한 단에 1만4000원, 깻잎 한 바구니 4000원, 상추 한 바구니 6000원이라고 적혀있었다. 주부 A 씨는 "상추가 한 바구니에 6000원이라니 놀랍다"며 "상추에 고기를 싸먹는 게 아니라 이 정도면 고기에 상추를 싸먹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한숨쉬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배추와 무 가격은 작년 추석 때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배추 중도매가격은 10㎏에 2만7820원으로 작년보다 94.6%나 올랐고, 무도 20㎏에 2만8800원으로 58.6% 상승했다.
제수에 오를 시금치도 무더위로 작황이 부진해 물량수급에 어려움이 발생하면서 한단(200g)에 평균 1만3280원으로 전주보다 61.8% 올랐다. 폭염과 긴 장마로 배추와 무 출하량이 적어진 게 가격인상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60대 주부는 "올해는 두 아들 부부가 모두 집으로 오기로 해서 음식을 넉넉하게 준비해야 하는데 채소 가격이 이렇게 비싸서 큰일이다"라며 "추석 끝나고 김장도 해야하는데 벌써부터 무섭다"고 토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과와 배 등 추석 상차림에 오를 과일을 고르는 고객들이 제법 보였다. 채소 가격은 오른데 반해 육류와 과일 가격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해 체감상 부담이 덜한 분위기였다. 실제로 정부가 집중 관리하는 추석 성수품 중 과일은 올해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지난해에는 작황 악화로 공급이 줄어들며 가격이 급등했지만, 올해는 공급 ·출하량이 많아지면서 가격이 내렸다. 고온과 가뭄 피해가 컸던 채소 품목과 다르게 사과의 경우 병해충 발생 감소와 태풍의 피해가 없어 생육환경이 전반적으로 양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과 중도매가격은 10㎏당 7만7980원으로 지난해보다 4.2% 내렸고, 배 역시 15㎏당 6만4760원으로 8.3% 하락했다. 축산물 가격도 안정세를 띠고 있다. 한우 도매가격은 1㎏당 1만8379원으로 작년보다 4.5% 하락했으며, 닭고기도 22.4% 내렸다.
채소가게를 운영하는 B씨는 "정부가 물가 안정 대책을 내놓았다고 했는데, 체감 물가는 전혀 떨어지지 않았다"며 "작년에는 과일 가게 상황이 어려웠는데, 올해는 채소 가게들이 울상이다. 나물류는 상태도 안좋은데 가격만 비싸서 주문도 안넣었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같은 날 방문한 대형마트는 시장보다 가격이 좀 더 저렴한 편이었다. 대형마트 경우 사전에 대량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대한민국 농할쿠폰'을 적용해 최대 30%의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한편, 올해 추석 상차림 비용은 작년에 비해 7~8% 가량 올랐으며, 전통시장은 24만원, 대형마트는 29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과일은 대형마트가, 채소·육류는 전통시장이 저렴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가 서울시 8개 자치구 내 대형마트·전통시장·가락시장(가락몰) 총 25곳을 대상으로 추석 차례상 차림 비용을 조사한 결과 6~7인 가족 기준 올해 대형마트 구매비용은 평균 28만8727원으로 전년 대비 8.4% 상승했고, 전통시장 구매비용은 평균 24만785원으로 전년 대비 7.4% 상승했다.
정부는 추석을 앞두고 물가 안정을 위해 배추, 무, 사과 등 주요 성수품 20종을 총 17t 추가 공급하고, 유통업체와 협력해 최대 60% 할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