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면세업 불황 속 웃는 기내면세...“술·담배 선물 구매 많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내면세 코로나 전 94% 회복
입국장 면세점 1000억원 돌파


면세업계가 전반적으로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기내 면세점과 입국장 면세점은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면세업계에선 전반적인 면세점 업황은 유커 축소 때문에 힘들지만, 기내 면세는 내국인 입국자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크지 않은 주류·담배·화장품 등 선물용 구매가 회복된 영향으로 보고 있다.

16일 관세청과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기내 면세 매출은 2757억원으로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2938억원의 94% 수준까지 회복했다. 올해 1∼4월 매출은 1000억원을 돌파해 지난해 같은 기간(843억원)보다 많았다.

기내 면세 매출은 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693억원으로 감소한 뒤 2021년 416억원까지 더 줄었다. 그러다 2022년 비행기 운항이 정상화하면서 1256억원까지 회복했다. 이는 면세점 전체 매출과 비교하면 빠른 회복세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면세점 전체 매출은 13조7586억원으로 2019년 24조8586억원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에 그쳤다.

시내 면세점이나 출국장 면세점이 어려운 건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이 들어오지 않기 때문인데, 기내 면세는 유커 영향이 미미한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기내에서는 여행 기간에 사지 못한 선물이나 들고 다니기 힘든 술을 많이 산다”며 “카탈로그만 봐도 부담이 적은 저가 화장품이나 초콜릿, 주류가 대다수”라고 설명했다.

매일경제

대한항공 기내면세점 스카이샵 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내 면세 판매가 빠르게 회복했다면 2019년 5월에 도입된 입국장 면세점 매출은 눈에 띄게 신장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입국장 면세점 매출은 첫해 346억원을 기록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113억원에서 2021년 55억원으로 감소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2년에 391억원으로 성장세로 돌아선 뒤 지난해 1102억원으로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했다.

입국장 면세점은 인지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데다 최근 해외여행을 떠나는 우리 국민이 많아진 덕을 봤다. 입국장 면세점 이용자는 주로 내국인으로, 지난해 전체 매출의 95%(1045억원)를 차지했다. 내국인 출국자 수는 2022년 655만명에서 지난해 2272만명으로 246.6%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내국인 출국자 수는 742만명으로 전 분기보다 13.9% 늘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