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사설]‘국정농단 정호성’ 비서관 채용한 윤 대통령, 이 무슨 자가당착 인사인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문고리 권력’으로 불린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을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실 3비서관(옛 국민공감비서관)으로 임명했다. 정 비서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 시절 박근혜·최순실(최서원) 국정농단 특검팀장으로 수사해 구속했던 인물이다. 자가당착 인사이고, 국민 눈높이에서 이해하기 힘든 불통 인사다.

정 비서관은 과거 국정농단의 핵심 인물이다. 박 전 대통령 당시 이재만 총무비서관, 안봉근 2비서관과 함께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며 비선 실세로 국정을 황폐화시킨 장본인이다. 대통령의 일정과 주요 보고서를 관리하던 그는 ‘국무회의 말씀 자료’, ‘드레스덴 연설문’ 등 청와대 기밀 문건을 최씨에게 유출한 혐의로 2018년 대법원에서 징역 1년6개월 형을 확정받았다. 윤 대통령 본인이 구속수사하고 실형까지 받게 한 인물을 대통령실에 기용하는 건 자기부정일 뿐이다.

‘문고리 권력’이라는 것 자체가 불통을 상징한다. 당시 박 전 대통령과 접촉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은 청와대 비서실장도 경호실장도 아닌 이들 3인이었다. 이런 비선 실세들의 ‘인의 장막’과 농단을 목도하며 시민들은 촛불을 들었고, 결국 박 전 대통령은 탄핵을 당했다. 그런 인사에게 국민 공감을 담당하는 시민사회수석실 직책을 맡겼으니 이런 부조화가 없다.

대통령실에선 정 비서관의 능력과 충성심을 높이 평가했다는 말도 나온다. 사실이라면 더더욱 잘못된 인사다. 대통령 한 명에게만 충성하며 국정을 망치고 오판케 한 이를 지금 왜 높이 평가하고 쓰려는 건지 알 수 없다. 윤 대통령은 총선 후 국정 지지율 하락과 공무원들의 복지부동을 이런 충성 경쟁으로 막을 수 있다고 보는 건가.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은 윤 대통령의 불통과 독선, 국정 무능에 대한 심판이었다. 윤 대통령도 총선 후 국정 쇄신을 약속했다. 그러나 해병대 채 상병 특검법 거부, 김건희 여사 수사팀을 와해시킨 검찰 인사 등을 보면 국정 방향은 여전히 바뀐 게 없다. 국민이 요구하는 소통과 쇄신은 투명하고 합리적인 인사를 통해 시작된다. 그러나 총선 참패 후에도 대통령실 인사는 검찰·찐윤 일색이고, 급기야 박근혜 탄핵 세력을 중용하기에 이르렀다. 인사가 만사라는데, 망사가 되어가고 있다.

경향신문

박근혜 정부 시절 ‘문고리 권력’으로 불렸던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이 지난 2017년 6월 9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