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만 지켜라"…인구감소 '저지선 사수' 총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저출생·고령화에 수도권 쏠림 현상에 따른 인구감소로 지방소멸 위기꺼지 거론됩니다.

지방자치단체 마다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요.

정주 여건과 보육·교육환경 개선, 생활인구 유입 등 크게 3가지 정책을 큰 줄기로 삼아 지자체마다 지역 특색에 맞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당장 인천시는 인천형 출생 정책으로 인천에서 태어나는 아동에게 18세까지 총 1억원을 지원하는 '1억 플러스 아이드림'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첫 단계로 임산부 교통비 50만원을 신설해 이달부터 신청받고 있습니다.

1∼7세 기간 매월 10만원씩 총 840만원을 지급하는 '천사지원금'과 아동수당이 끊기는 8세부터 18세까지 매월 15만원씩 총 1천980만원을 지원하는 '아이꿈수당'도 지급하기로 하고 정부와 논의도 하고 있습니다.

충남도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2세 이하 자녀를 둔 직원에게 '주 1일 재택근무 의무화'를 시행하기로 했고요.

수도권에서도 대표적 인구 감소로 꼽히는 경기 동두천시는 지난해 '인구증가시책 지원 조례'를 제정해 전입장려금, 지역 내 대학교 재학생 주거비 지원, 직업군인 및 군무원 월세 지원 등 전입자에 대한 3가지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외국인들을 끌어안는 이민정책인데요.

2028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만명 유치, 유학생 이공계 비율 30% 확대, 취업·구직 비자 전환율 40% 확대 등 3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추진합니다.

[OBS경인TV]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