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노인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일수록 빈곤율이 높아져 76세 이상은 ‘2명 중 1명’이 빈곤 상태였다.
OECD가 최근 공개한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 보고서를 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다.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다.
소득 빈곤율은 평균 소득이 빈곤 기준선인 ‘중위가구 가처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의 비율이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노인 빈곤율 40%를 넘었다. 에스토니아(34.6%), 라트비아(32.2%)가 그 뒤를 이었다. 일본(20.2%)과 미국(22.8%)은 한국의 절반 수준이다. 아이슬란드(3.1%), 노르웨이(3.8%), 덴마크(4.3%), 프랑스(4.4%) 등 유럽 국가들은 노인빈곤율이 낮았다.
빈곤율은 고령일수록 더 높았다. 66~75세에서는 10명 중 3명(31.4%)이고, 76세 이상은 2명 중 1명(52.0%)이 소득 빈곤 상태로 나타났다. OECD 평균은 각각 12.5%와 16.6%로 격차가 크지 않았다. OECD는 “한국은 연금제도가 아직 성숙하는 과정에 있어 고령 노인들의 연금 수준이 낮은 수준”이라고 짚었다.
성별로 보면 한국 노인 여성의 소득 빈곤율은 45.3%로 남성(34.0%)보다 11.3%포인트 높았다. OECD 평균은 남성 11.1%, 여성 16.5%로 격차가 5.4%포인트였다. OECD는 “여성 노인은 소득 관련 연금 급여가 적고, 기대수명이 길어 남성 노인보다 빈곤율이 높다”며 “한국은 남성과 여성 노인의 빈곤율 차이가 11%포인트가 넘어 비교적 격차가 크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노인인구 내에서 계층 간 소득 불평등도 심한 편에 속했다. 2020년 기준 한국은 노인 인구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OECD 평균(0.306)보다 컸다. 지니계수는 소득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뜻이다.
노인인구 내 불평등은 다른 연령대보다 심했다. OECD 평균 노인인구 지니계수는 전체 인구(0.315)보다 작다. 하지만 한국 노인인구 지니계수는 전체 인구(0.331)보다 컸다.
한국의 연금 소득대체율(연금 가입기간 평균소득 대비 받게 될 연금액의 비율)은 31.6%로, OECD 평균(50.7%)에 못 미쳤다. 이는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과 강제적 사적연금을 합쳐서 계산한 결과다.
김향미 기자 sokhm@kyunghyang.com
▶ 플랫, ‘입주자 프로젝트’ <엄마 성 빛내기> 시작!!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