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중국 베이징에서 한 시민이 거리를 걷고 있다. REUTERS=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를 기대했던 중국 경제에 오히려 침체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내수 부진과 부동산 침체 등 복합적인 문제가 경기를 짓누르고 있어서다. 중국 정부는 부양책을 내놓고 있지만, 일본의 ‘잃어버린 30년’과 같은 장기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을 겪을 수 있다는 비관론이 나온다.
20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투자은행(IB)들은 중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낮춰잡았다. 씨티그룹과 JP모건은 전망치를 기존 5.5%에서, 모건스탠리는 기존 5.7%에서 5%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올해 2분기 GDP 성장률(6.3%)이 시장 전망치(로이터·7.3%)를 밑도는 등 느린 회복세가 확인되면서다.
김영희 디자이너 |
주요 경제 지표도 부진하다. 지난달 소매판매 증가율(전년 대비 3.1%)은 4개월 만에 한 자릿수를 기록했고 수출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16~24세 청년실업률은 21.3%로 또다시 역대 최고치였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대비 0%를 기록했고, 생산자물가지수(PPI)는 5.4% 하락했다. 장즈웨이 핀포인트자산운용 이코노미스트는 “디플레이션 위험이 매우 실제적”이라고 평가했다. 가계와 기업이 물가가 더 떨어질 것으로 보고 소비·투자를 미루면 다른 실물 부분의 위축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실질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1년 만기와 5년 만기 각각 3.55%와 4.2%에서다. 경기 둔화 우려에도 금리를 동결한 것은 최근 위안화 약세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른 시일 내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 루팅 노무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하반기에 두 차례 0.1%포인트 금리 인하를 포함한 일련의 조치를 할 것으로 본다”면서도 “(중국의 경제) 상황을 역전시키지 못할 수 있다”고 봤다.
박경민 기자 |
앞서 19일 중국공산당과 국무원이 발표한 ‘민간경제 발전·성장 촉진에 관한 의견’에도 반응은 미지근하다. 기업(국유·민간·외자기업)을 평등하게 대우해 공정 경쟁의 제도적 틀을 갖춘다는 요지인데, 그간 중국 정부의 민간기업 지원 약속이 실제로는 잘 실행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중국의 경제 회복에는 특히 부동산 침체가 걸림돌로 꼽힌다. 중국의 대형 개발업체인 다롄완다그룹은 오는 23일 만기인 채권 4억 달러(약 5000억원) 중 최소 2억 달러(약 2500억원)가 부족한 상태라고 17일 채권단에 밝혔다. 이에 2021년 말 헝다그룹에 이어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졌다. 재클린 룽 BNP파리바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성장률을 높이려면 부동산 시장이 살아날 필요가 있다면서 “유일한 성장 동력은 투자인데, 투자에서 가장 큰 문제는 부동산”이라고 짚었다.
‘일본식 불황’을 겪을 수 있다는 비관론까지 나온다.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올해 중국 상황이 1980년대 부동산 거품이 터진 후 일본 상황과 비슷하다는 주장이 있다”고 전했다. 당시 일본은 가계와 기업이 소비·투자보다 빚 갚기에 집중하면서 수요 부진 → 물가 하락 → 경기 침체로 이어졌다.
중국의 경제 부진은 다른 국가에도 부정적 여파가 있을 전망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수출·관광 비중이 큰 국가 등) 세계의 일자리와 경제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각국은 중국의 불황에 대비해 중국 의존적 전략을 바꿔야 한다”라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전했다.
서지원 기자 seo.jiwon2@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