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물가와 GDP

2분기 연속 ‘실질소득’ 감소…자영업 가구에 더 가혹한 ‘고물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2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한겨레

서울의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4분기 물가 상승세를 반영한 실질 가계소득이 1.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연속으로 실질 가계소득이 전년 같은 분기에 견줘 감소한 것이다. 특히 월급쟁이보다는 자영업자가 고물가 부담이 더 컸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2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명목 소득은 483만4천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에 견줘 4.1% 증가했다. 그러나 물가 변동분을 반영한 실질 소득은 전년보다 1.1%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실질 소득이 2.8% 줄어든 것에 이어 4분기에도 감소한 것이다. 실질 소득 감소 폭은 4분기 기준으로 2016년(-2.3%) 이후 6년 만에 가장 컸다.

실질 소득 감소는 자영업 가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전체 가계 소득을 분류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월평균 명목 근로소득은 312만1천원으로 전년보다 7.9%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명목 사업소득은 101만8천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증감 없이 제자리걸음이었다. 그러면서 지난해 4분기 실질 근로소득은 2.5% 늘었으나 실질 사업소득은 5% 줄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2021년 2분기부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반 증가하다가 이번에는 근로소득이 계속 증가했지만 사업소득은 증가율이 0%였다”며 “인건비와 원자잿값, 이자비용 등의 상승이 (사업) 수익성을 떨어뜨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업소득은 총 수입액에서 인건비·재료비·임대료·전기료 등 사업에 쓰인 지출 전체를 차감해 산출한다. 사업소득과 달리 근로소득이 상승한 것은 취업자 수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정부 지원금 감소도 자영업자 가구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공적이전소득(명목 기준)은 38만9천원으로 코로나19 손실보상금이 사라지면서 전년 같은 분기에 견줘 6.2% 줄었다. 코로나19 손실보상금은 전 국민이 아니라 코로나19 방역 조처로 매출감소 등 피해가 생겼던 자영업자들에게 지급됐던 지원금이다.

소득분배 지표는 소폭 개선됐다. 지난해 4분기 5분위(상위 20%) 가구 소득을 1분위(하위 20%) 가구 소득으로 나눈 배율을 뜻하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53배로 1년 전 같은 분기(5.71배)에서 0.18배포인트 축소됐다. 이진석 과장은 “근로소득 증가에 영향을 준 취업자 수 증가가 주로 1분위 내 60살 이상과 1인 가구에서 많았는데, 반면 사업소득이 감소한 자영업자들은 1분위보다는 5분위 쪽에 많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9만7천원으로 1년 전 같은 분기에 견줘 5.9% 증가했다. 4분기 기준으로 2009년(7.0%)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그러나 이 역시 물가 상승 영향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은 0.6% 증가하는데 그쳤다. 씀씀이는 1년 전과 별반 차이가 없었는데, 지갑에서 나간 돈은 6%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특히 냉·난방과 취사, 조명에 쓰이는 연료비 지출을 보면, 지난해 4분기 명목으로는 16.4% 늘었지만, 실질로는 8.9% 줄었다. 1년 전보다 난방을 덜했음에도 난방비는 더 냈다는 뜻이다.

지난해 4분기에는 이자 비용도 전년 대비 28.8%나 늘어 가계 부담을 키웠다. ​연료비(16.4%)와 이자 비용 지출 증가 폭은 2006년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전 분기를 통틀어 역대 최대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

▶▶“퇴사하고 월급 200→400만원, 정년도 없어” 기술 배우는 MZ
▶▶바이든, 비행기 떴는데 “안 가”…우크라 방문 특급 연막작전▶▶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