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이슈 물가와 GDP

겨우 4.0%인데 난리난 일본…물가 상승률 41년 만에 최고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AP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물가가 41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다. 전세계 주요국가 가운데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마지막 국가인 일본도 조만간 긴축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20일 일본 총무부는 12월 소비자물가(CPI) 종합지수(신선식품 제외)가 104.1로, 전년 동월보다 4.0% 상승했다고 밝혔다.

일본 CPI가 4%를 기록한 것은 지난 1981년 12월 이후 41년여 만이다. 당시는 2차 석유파동의 여파가 물가 상승의 기폭제로 작용했던 시기다.

12월 CPI를 보면 한국은 5.0%, 미국 6.5%, 유로존 9.2%, 영국 10.5%였다. 4.0%라는 숫자 자체는 낮지만 일본 경제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다. 일본은 장기 경기침체로 지난 20여년간 임금 상승이 정체된 상황이다. 임금은 제자리걸음을 하는데 물가만 오르면서 지난해 11월 일본의 실질임금은 전년동월 대비 3.8%나 감소했다.

또 일본 CPI는 지난해 10월 3.7%, 11월 3.8%, 12월 4.0% 등 9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유럽 등이 대체로 3분기 중 고점을 찍고 서서히 내리막세를 보이는 것과 상반된다.

이는 일본 통화당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영향이 크다. 무제한적 돈풀기를 지속하면서 엔화가 약세를 보이고, 수입 물가가 상승해 가계 부담이 가중되는 부작용이 심화되고 있다.

BBC는 “물가가 오른 후에도 일본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낮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라면서 “그 결과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은 지난 해 동안 금리를 대폭 인상한 많은 다른 국가들의 추세에 역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막상 금리를 올리는 것도 부담되는 상황이다. 일본은 막대한 규모의 국가부채를 안고 있는데 일본 시중은행이 일본 국채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다. 금리가 올라서 시중은행이 보유한 일본 국채에서 평가손실이 발생하면 국가경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도 적지 않다.

시장에서는 일본은행(BOJ)의 긴축 전환을 시간 문제로 본다. 지난해 12월 일본은행은 10년물 국채 금리는 0% 정도로 유도하되 10년물 국채 금리 변동폭을 기존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확대했다. 사실상 긴축 전환으로 해석됐지만 지난 18일에는 금리를 동결하면서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데미안 통 맥쿼리그룹 일본 주식 담당 리서치 책임자는 “생산자 가격은 소비자 가격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상승했는데 이제 기업들이 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라며 “일본은행이 결국엔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끝낼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