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서울시 ‘청렴도 최하위’ 불명예 벗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리 척결 교육·감시 강화…권익위 내달 발표 앞두고 긴장

‘4등급→4등급→4등급→5등급→4등급.’ 최근 5년간(2014~2018년) 서울시가 받아든 청렴도 성적표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올해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발표를 한 달여 앞두고 서울시가 긴장하고 있다.

5일 국민권익위에 따르면 올해 청렴도 측정을 위한 기관별 내외부 조사 및 현장실사는 지난 7월부터 시작해 이달 말 종료되고, 12월 최종 결과가 나온다. 청렴도가 꼴찌 수준이라고 해서 제재를 받는 것은 아니지만 대외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에 서울시는 최하위권 탈출을 위해 올해 2월 ‘청렴도 향상 종합계획’을 세웠다. ‘공직자 자기관리시스템’을 도입해 부서·개인별 청렴지수를 직접 입력하게 하고, 시장단과 산하기관 간부 3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청렴콘서트’, 기관별·업무별 맞춤형 부패·비리 척결 교육도 진행했다.

지난해엔 청렴도 평가에서 감점 요인이 되는 부패·비리 사건은 끊이지 않았다. 금품·향응수수, 공금횡령, 입찰방해, 허위공문서 작성 등으로 12명이 감봉·정직·해임·파면 조치됐다. 국정감사장을 달궜던 서울교통공사 친·인척 채용비리 의혹도 상위권 도약에 발목을 잡은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는 현장 교육과 비리 감시를 강화한 만큼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국민권익위의 내부청렴도 측정에 직결되는 인사나 근평(근무성적 평정)에 대한 내부 불만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특별시공무원노동조합이 지난달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가장 심각한 ‘직장 갑질’ 행위로 응답자 367명 중 263명(71.1%)이 ‘측근 챙기기, 일 따로 근평 따로 등 불공평한 근평’이라고 답했다. 응답자 중 189명(51.5%)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했다.

고영득 기자 godo@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