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저소득층, 고소득층보다 6년 일찍 죽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저학력이 고학력보다 1.6배가량 더 비만율이 높고, 수명은 6년 짧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모두를 위한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사회적 불평등’ 보고서를 내고 32개국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건강상태,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 등을 분석했다. 한국은 분석대상국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양상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여 참고할 만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강에 문제가 없는 사람들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질병 등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 비해 8%포인트 높다.

비만, 음주, 흡연 등은 저학력층이 고학력층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낸다.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의 과체중 및 비만 비율은 여성의 경우 36%로,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여성(58%)과 비교해 16%포인트 낮다. 남성은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이 58%,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이 54%로 4%포인트 차를 보였다. 흡연율은 저학력층이 고학력층보다 약 2배 높았다.

기대수명은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이 고등교육 이수자에 비해 6년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저학력층에서 순환계 질환 및 암에 의한 사망률이 높은 것이 원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도 차이를 보였다. 저소득층의 진료 비율은 고소득층보다 5%포인트 낮다. 전문의 치료는 고소득층 51%, 저소득층 39%로 차이가 더 컸다. 건강검진 등 예방의료 서비스 이용도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했다.

저소득층이 관리를 제대로 받지 못해 건강이 악화하는 것은 비용, 거리 등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비용 문제로 진료를 받지 못하는 비율은 저소득층이 26%에 이른다. 고소득층은 8%에 불과하다. 의료기관과의 거리 및 교통 문제로 서비스 이용을 포기하는 비율도 저소득층(6%)이 고소득층(2%)에 비해 높다.

OECD 보고서는 “보건 관련 정책을 추진할 때는 성별 외에 교육 수준, 소득수준 등을 고려한 정책대상 집단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며 “위험한 건강행태가 가져오는 장기적 결과에 대한 저학력층의 이해도를 높이고, 의료 소외지역, 소수민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