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靑 ‘北 어선 사태 축소’ 사전 조율 의혹 증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軍 브리핑 잇단 참관 드러나 / 靑 행정관 참석 자체가 이례적 / 17일 이어 19일 발표도 지켜봐 / 軍 “기자들 의문 확인차원 방문” / 한국당 ‘입항 진상조사단’ 구성

세계일보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등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현안 및 안보의원총회를 마치고 로텐더홀에서 북한 어선의 '해상 노크 귀순' 파문을 규탄하고 있다. 허정호 선임기자


북한 어선의 강원도 삼척항 입항 사건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청와대와 군 당국이 이를 축소·은폐하려고 ‘사전 조율’을 시도했을 수 있다는 논란에 대해, 청와대는 “군 당국의 17일 첫 브리핑 당시(군의) 발표문을 사전에 대략 알고 있었다”고 21일 밝혔다. 청와대는 국가안보실 소속 행정관이 국방부 기자실에 들어와 언론 브리핑을 지켜본 사실도 인정했지만 (군 당국의) 구체적인 발표 내용에는 간섭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내놨다.

21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현역 해군 대령으로 청와대 국가안보실에 파견된 A행정관은 지난 17일은 물론 19일에도 국방부 기자실에서 열린 북한 어선 관련 비공개 브리핑 현장에 있었다. 사복 차림의 A행정관은 기자실 한쪽에 서서 국방부와 합참 관계자들이 북한 어선의 삼척항 접안 경위와 군 경계태세 등을 설명하는 상황을 지켜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일보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등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현안 및 안보의원총회에서 회의를 지켜보고 있다. 허정호 선임기자


기자실에서 진행되는 브리핑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직책과 이름을 소개하지만 기사화할 때는 익명으로 처리한다. 하지만 당시 브리핑에서 A행정관에 대한 소개는 없었다. 비공개 브리핑에 참석했던 군 고위 관계자와 실무자들 중에서도 A행정관의 참관 사실을 사전에 인지했던 사람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군 안팎에서는 청와대 행정관이 국방부 기자실에서 진행되는 비공개 브리핑에 참석한 것을 이례적인 일로 보고 있다. 이번 사건을 축소·은폐하기 위해 사전조율을 거쳤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세계일보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현안 및 안보의원총회에서 발언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허정호 선임기자


청와대와 국방부는 ‘사전조율’ 의혹을 부인하며 진화에 나섰다. 청와대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난 1월 16일 한·일 초계기 갈등 상황이 벌어졌을 때에도 당시 백그라운드 브리핑 현장을 찾은 점을 언급하며 “그 당시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중대상황이라고 판단해 참석했던 것”이라고 반박했다. 국방부도 “(A행정관은) 평상시에도 (국방부와) 관련 업무를 협의하는 (청와대의) 실무 담당자”라며 “이번 사건과 관련해 (기자들이) 어떤 부분을 궁금해하는지 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방문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세계일보

野, 국정조사 촉구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오른쪽 네번째)와 나경원 원내대표(〃 다섯번째) 등 한국당 의원들이 21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북한 어선의 ‘해상 노크 귀순’ 파문을 규탄하며 국정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허정호 선임기자


야권은 북한 어선 귀순 사건과 관련해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해양경찰이 15일 발견하고 군과 청와대에 모두 제대로 보고했는데 17일 국방부의 해명은 달랐으며, 국방부 브리핑에는 청와대 행정관이 있었다. 그림이 그려지지 않느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한국당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장을 지낸 김영우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한선박 입항 은폐 조작 진상조사단을 구성했다.

바른미래당 오신환 원내대표도 “군 당국의 은폐·조작에 청와대가 개입했거나 최소한 묵인·방조했다는 의혹을 피할 수 없게 됐다”고 꼬집었다.

박수찬·장혜진 기자 psc@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