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해외 야생식물로 화장품 만들고 이익 나누는 첫 사례 나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중소기업, 캄보디아 야생식물로 화장품 개발하고 캄보디아와 이익 공유하기로
한국일보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 환경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 야생식물을 활용해 국내에서 화장품을 개발한 뒤 이에 대한 이익을 해당 국가와 공유하는 사례가 처음 나왔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14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캄보디아 농림수산부와 국내 화장품기업인 한솔생명과학 간 이익공유 협약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내 연구기관 및 제조사가 해외 야생생물자원을 합법적으로 발굴ㆍ분석해 산업화한 뒤 이를 통해 발생하는 이익을 자원 제공국과 공유하기로 한 첫 사례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5년 12월 미백과 주름개선 효능이 우수한 캄보디아 야생식물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를 찾아냈고, 국내 중소기업인 한솔생명과학에 2016년 11월 기술 이전해 화장품 개발을 지원했다. 이 화장품은 지난해 12월 상용화를 끝내고 시제품을 내놨다.

환경부는 국제사회의 자국 생물자원 보호강화 흐름에 대응해 2007년부터 동남아, 아프리카, 태평양 지역 국가와 협력해 생물자원을 합법적으로 공동 발굴하는 국제협력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2014년 나고야의정서 채택과 자원 제공국의 관련법 정비 이후 바이오산업 기업들은 자원 제공국과의 이익공유에 대한 부담과 복잡한 승인절차 등의 이유로 해외 생물자원을 활용한 제품개발에 선뜻 나서지 못했다.

이에 환경부는 자원 제공국의 승인 절차를 준수해 발굴ㆍ확보한 해외 유용 생물소재를 국내 바이오산업계에 소개해 생물소재 발굴 절차를 간소화하고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환경부는 더욱 다양한 캄보디아 생물소재를 활용하기 위해 한-캄보디아 생물자원협력 차관회담도 이날 개최했다.

박천규 환경부 차관은 "이번 국내 1호 이익공유 계약에 이어 앞으로 국내 바이오 기업이 해외 유용 생물 소재를 보다 쉽게 활용하고 이를 통해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고경석 기자 kav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