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노벨 경제학상 폴 로머 "韓 소득주도성장, 기술습득으로 이어져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알기 어려운 이유로 금융위기 또 올 것…과거 교훈 잘 활용해야"

세계파이낸스

'노벨경제학상' 폴 로머 뉴욕대 교수. 사진=연합뉴스


[세계파이낸스=장영일 기자]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폴 로머(62) 미국 뉴욕대 교수는 8일(현지시간) 한국의 소득주도 성장에 대해 기술습득으로 연결고리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로머 교수는 이날 뉴욕 맨해튼 뉴욕대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소득주도성장의 경제적 효과를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소득향상이 더 많은 기술습득으로 이어질지가 관건"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로머 교수는 "사람들은 소득이 늘어날수록 더 교육을 받게 되고, 새로운 것을 배우기 마련"이라며 "어떤 기술이 더 필요하고 누가 더 기술을 배워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환경이 필요한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해선 "우리가 알기 어려운 이유로 또다시 금융위기가 올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과거 위기에서 배운 교훈들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 여부"라고 설명했다. 특히 "경제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불평등을 비롯한 정치의 안정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로머 교수는 기술 진보와 아이디어 축적이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이끈다는 이른바 '내생적 성장'(Endogenous Growth) 이론으로 유명하다. 특히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조해왔다. 2016년 10월부터 지난 1월까지 세계은행(WB)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수석 부총재를 지냈다.

로머 교수와 함께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윌리엄 노드하우스(77) 예일대 교수는 코네티컷 주 예일대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새로운 미 행정부가 들어서고 수년 안에 미국은 그 이슈(기후변화)를 재검토해야만 할 것"이라며 "미국의 참여 없이는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적 합의를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밖에서는 기후변화 과학을 꽤 광범위하게 수용하고 있다"며 "미국은 (기후변화협정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드하우스 교수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경제모형·이론 개발에서 뚜렷한 업적을 남겼다. 경제와 기후 사이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양적 모델을 처음으로 만들었다.

jyi7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