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 전략산업·4차 산업혁명 유관산업서 적극 협조 필요”
사진=연합뉴스 |
중국 정부가 대대적인 경제 구조 전환에 나선 가운데 이에 발맞춰 한국도 대중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중간재 수출 중심에서 벗어나 신흥 전략산업 등에서 중국 기업과의 제휴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한국은행 김대운 과장과 정준영 조사역이 19일 내놓은 '중국경제 개혁개방 40년, 성과와 과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경제는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 후 큰 성장을 일궜지만 현재 성장통도 만만치않은 상태다.
개혁개방 이후 1978∼2017년 사이 중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연 평균 9.5%씩 성장했다. 덕분에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했다. 산업 구조는 1차 산업 중심에서 2, 3차 산업 중심으로 개편됐으며 미국을 비롯한 130개국에 대해 최대 교역국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수출과 건설투자 등에 너무 의존한 나머지 최근 중국 내 과잉설비, 국유기업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
중국의 가계와 기업 및 정부 부채 합계는 지난해말 기준 GDP 대비 255.7%에 달했다. 신흥국 평균인 193.6%를 크게 능가하는 수준이다. 또 부동산시장에 변동성이 너무 높으며 소득분배 개선도 장기 과제로 남아 있다.
중국의 지니계수는 0.46으로 2000년 이후 위험 수준(국제연합 기준 0.4)을 꾸준히 넘고 있다.
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화 진전으로 대기오염 역시 심각하다. 중국의 초미세먼지(PM 2.5)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25)을 큰 폭으로 넘어섰다.
아울러 자원 자급률이 지속해서 하락해 원유, 곡물 등에서 대외 의존도도 높아졌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도 독자적인 성장 모델을 강조하는 '중국제조 2025' 정책을 내미는 등 대대적인 경제 구조 전환을 꾀하고 있다. 우선적인 숙제로는 과잉설비 조정과 국유기업 개혁이 꼽히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소득분배 개선 및 환경오염 문제 해결도 필요하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 역시 대중 전략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간 한국 기업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중간재 수출에 주력해 왔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 수출 중 중간재 비중은 무려 78.9%에 달했다.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은 신흥 전략산업 및 4차 산업혁명 유관 산업에서 중국 기업과 제휴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대중 전략 변화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이어 "포화상태인 중국 1, 2선 도시 이외에 3, 4선 도시와 내륙지역에 진출해야 한다"며 "소비시장의 주축으로 부상한 1980∼1990년대생을 목표로 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온라인 플랫폼과 모바일 결제시스템 등에 적합한 유통구조,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보고서는 새 전략의 좋은 예로 셀트리온과 중국 타슬리 간 중국 내 생산법인 설립, 한국전력과 중국 국가전망공사(SGCC) 간 동북아 전력망 구축 사업 등을 꼽았다.
안재성 기자 seilen7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