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위안부 피해 첫 증언날, 27년만에 국가가 기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고 김학순 할머니 위안부 피해 공개증언

8월14일 국가기념일 지정·기념식 예정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기림의 날)을 맞아 올해 처음으로 기념식을 연다.

지금으로부터 27년 전인 1991년 8월14일, 고 김학순 할머니(1927~1997)는 기자회견을 열어 위안부 피해 사실을 최초로 공개 증언한다. 2012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 연대회의’는 이러한 용기를 기억하고자 8월14일을 세계 위안부 기림일로 지정했고, 이듬해부터 민간 차원의 기념 활동이 해마다 이어져왔다. 지난해 국회에서 8월14일을 기림의 날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은 법이 통과되면서, 올해 처음으로 국가기념일이 됐다.

13일 여성가족부는 “충남 천안에 위치한 국립 망향의 동산에서 14일 오후 3시30분부터 피해자·시민단체·시민 등 400여 명이 참여하는 기림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며 “망향의 동산 안 모란묘역에 설치한 위안부 피해자 추모비 ‘안식의 집’을 처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미향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대표는 “정부가 공식적으로 위안부 피해자의 삶을 기억하고 기리는 건 국내·외에 깊은 메시지를 주는 것”이라며 “그러나 무엇이 진정한 ‘기림’이냐는 관점에서 보면, 2015년 12·28 한-일 합의로 설립된 화해치유재단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는 등 피해자 인권회복을 위한 조처가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

앞서 지난 6일 정의기억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서울 중구 화해치유재단 앞에서 재단 해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화해치유재단은 사실상 이름만 남은 상태지만, 올해들어 6월까지 사무처 운영비로 매달 평균 2750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그동안 화해치유재단 처리 방안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오늘의 추천 뉴스]
[▶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 [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