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상생’ 선언한 민주당 출신 두 시장… 수원·화성 꼬인 지역현안 털어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화장장·군비행장 이전 등 반목/ 후보 시절 협력기구 조성 공약/‘민선 7기’ 출범 이후 시정 주목

6·13 지방선거에서 경기 수원·용인·화성시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 후보들이 시장에 당선된 가운데, 이들 3개 지방자치단체 간 얽혀 있는 갈등 해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원시 최초의 3선에 성공한 염태영 시장과 서철모 화성시장 당선자가 이미 후보자 신분으로 ‘상생협력’을 선언한 데 이어 백군기 용인시장 당선자도 수원시·고양시·창원시와 공동으로 ‘100만 이상 특례시 실현’에 협력하기로 하면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특히 민감한 현안이 맞물려 있는 수원시와 화성시의 관계가 개선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이웃사촌인 수원시와 화성시는 2015년 화성시가 추진하던 ‘광역화장장(함백산 메모리얼파크)’ 조성사업에 수원시가 반대입장을 내면서 협력관계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이어 지난해 2월 국방부가 수원 공군비행장(이하 수원 군공항) 예비이전 후보지로 화성 화옹지구를 선정하면서 두 이웃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과 반목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커졌다.

세계일보

급기야 화성시 반정지구와 경계조정을 해야만 하는 수원 망포4지구 택지개발사업이 지난해 4월 이후 전면중지됐다. 수원시가 보낸 경계조정 협조공문에 대해 화성시가 1년 넘게 협의보류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를 계기로 두 시의 갈등이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곳의 당선자가 후보 신분이었던 지난달 28일 ‘상생협력 선언’을 하면서다. 이들은 민선 7기 출범 즉시 ‘산수화(오산·수원·화성) 상생협력기구’를 구성하고, 지역 간 갈등을 합리적 대화로 해결하기로 약속했다.

수원시는 서 당선자가 다음 달 2일 시장으로 취임하고 나면 상생협력기구 구성과 현안 해결을 위한 협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또 민감한 현안이긴 하지만, 수원 군공항 이전과 관련해 화성시와 새로운 대화채널을 가동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로 했다.

의정부=송동근 기자 sd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